국채금리 상승·노동시장 상황이 물가상승 억제 요인이라는 점은 인정

긍정신호에도 방향전환 예고 안한 美연준…"필요하면 금리 인상"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관심은 12월에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힌트를 찾을 수 있을지에 집중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번 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절대다수였던 만큼 현재 기준금리의 움직임보다는 향후 통화정책의 흐름을 감지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연준이 분기별로 공개하는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말 금리예상치(중간값)는 5.6%다.

현재 기준 금리(5.25~5.50%)와 비교할 경우 올해 말까지 한 차례 더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연준이 이번 달에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12월에 기준금리가 인상돼야 점도표상 금리예상치에 도달하게 된다.

만약 연준이 12월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한다면 통화정책 자체가 바뀌는 신호탄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시장의 시각이었다.

일단 시장은 연준이 FOMC 회의 직후 성명에서 "가계와 기업의 금융과 신용 환경이 예전보다 긴축적인 상황이고, 이는 경제 활동과 고용, 물가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대목에 주목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더라도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긴축이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시장의 시각과 부합하는 언급이기 때문이다.

만약 연준이 국채금리 상승의 효과를 인정한다면, 지난해부터 고수했던 긴축적인 통화정책에서 변화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미국 TD증권의 금리 전문가 제나디 돌드버그는 연준 성명에 대해 "국채금리 상승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힌 것"이라며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해야 할 일을 국채 금리가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미국 노동시장에서의 공급 증가가 물가 상승 억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과 관련해 "글로벌 정세가 경제에 미치는 요인을 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양한 외부 요인까지 감안한다면 연준이 향후 추가로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은 그리 커 보이지 않다는 해석도 가능한 대목이다.

다만 모호한 화법으로 유명한 파월 의장은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에 대해 끝까지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파월 의장은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없을 경우 통화정책의 변화로 받아들여도 되느냐'는 질문에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고 답했다.

그는 "인상을 중단한 뒤 다시 금리를 올리는 게 어렵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만약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이 없더라도 필요할 경우 언제든 금리를 인상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정책 자체의 변화로 해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