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반려 결정을 재검토하라는 법원 판결에 항소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비트코인은 강한 반등세를 보이지 못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미 중앙은행(Fed)의 긴축이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하면서다. 여기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역시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美 인플레 계속에 가격 약세

美 긴축 장기화·中東전쟁 우려…매수심리 약해진 비트코인
15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 거래일 대비 0.07% 오른 3681만7000원에 거래됐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가 신청한 비트코인 ETF의 상장 여부를 재심사하라는 판결에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항소할 계획이 없다고 보도했다. 항소하지 않는 구체적인 이유는 전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 소식이 전해진 직후 비트코인은 2만6700달러대에서 움직이던 2% 가까이 오른 2만7100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만큼 큰 폭의 상승세는 아니었다. 비트코인 현물 ETF는 시장에서 연내 최고의 호재로 여겨졌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기관의 자금이 대거 유입될 것으로 기대됐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매수 심리가 크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9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3.6%)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미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의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Fed의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퍼졌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긴축은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에는 악재로 작용한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며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전쟁이 미칠 영향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 역시 비트코인 약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지난 7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하마스의 자금 조달 수단으로 지목되면서 영향이 작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비트오케이에 따르면 하마스와 연결된 암호화폐 계좌에 4100만달러(약 550억원)어치의 암호화폐가 입금된 것을 확인했다. 또 다른 분석 업체 엘립틱도 2021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와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암호화폐 계좌로 모두 9300만달러(약 1246억원)어치 암호화폐가 입금된 것을 파악했다.

시장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이 테러 집단의 자금 조달을 막기 위해 암호화폐 규제에 나설 경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이번 전쟁으로 비트코인의 가치가 재부각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다른 자산과 비교했을 때 안전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발발 당시에도 비트코인이 주목받기도 했다.

○비트코인 투심 회복될까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총량은 205만5421개로 전날보다 0.04% 증가했다.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늘어나면 매도할 수 있는 비트코인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전 세계인이 구글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한 정도를 나타내는 구글 트렌드 지수는 최근 들어 더욱 하락하고 있다. 구글 트렌드에서 비트코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을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구글 트렌드 지수는 9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이 개당 8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던 2021년 4월에는 이 지수가 100이었다. 당시와 비교했을 때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식었다는 걸 의미한다.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매수 심리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Fed가 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