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의 민낯…역전세 폭탄 '째깍째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만기 전세계약 중 60%가 역전세 위험"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도래 전세 계약 가운데 60%는 역전세, 10%는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국회 예산정책처에 분석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하는 전세계약 가운데 역전세 위험가구는 59.4%인 65만4천호로 예상됐다.
깡통전세 위험가구는 11만2천호(10.9%)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역전세 위험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인천(63.8%)으로 추산됐고,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66.8%) 비중이 높았다. 깡통전세 위험가구 비중은 비수도권(14.6%)과 오피스텔(25.3%)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역전세 위험가구의, 전세보증금과 전세시세 간 격차인 역전세 차액은 평균 7천319만원으로 전세보증금의 19.5% 수준으로 나타났고, 깡통전세 위험가구의 깡통전세 차액(전세보증금과 매매시세 간 격차)은 평균 2천345만원, 매매시세의 11.2%로 추산됐다.
이와 관련, 예산정책처는 "집주인들이 역전세로 인해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무리한 갭투자의 결과일 수 있다"면서 "전세 반환대출 규제완화는 집주인이 보유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도 부채를 돌려막을 길을 열어줘 갭투자 실패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시장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사진 = 연합뉴스)
정경준기자 jkj@wowtv.co.kr
29일 국회 예산정책처에 분석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하는 전세계약 가운데 역전세 위험가구는 59.4%인 65만4천호로 예상됐다.
깡통전세 위험가구는 11만2천호(10.9%)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역전세 위험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인천(63.8%)으로 추산됐고,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66.8%) 비중이 높았다. 깡통전세 위험가구 비중은 비수도권(14.6%)과 오피스텔(25.3%)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역전세 위험가구의, 전세보증금과 전세시세 간 격차인 역전세 차액은 평균 7천319만원으로 전세보증금의 19.5% 수준으로 나타났고, 깡통전세 위험가구의 깡통전세 차액(전세보증금과 매매시세 간 격차)은 평균 2천345만원, 매매시세의 11.2%로 추산됐다.
이와 관련, 예산정책처는 "집주인들이 역전세로 인해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무리한 갭투자의 결과일 수 있다"면서 "전세 반환대출 규제완화는 집주인이 보유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도 부채를 돌려막을 길을 열어줘 갭투자 실패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시장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사진 = 연합뉴스)
정경준기자 jk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