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가수를 춤가수, 무용가수로 안 부르는 이유
<댄스가수 유랑단>이라는 TV 프로그램 제목을 보았을 때 묘한 쾌감이 들었습니다. 뒤에서만 수군대던 말들, 그러니까 부족한 노래 실력을 댄스로 얼버무린다는 ‘댄스가수’, 번듯한 공연장이 아닌 곳을 떠돌며 고생한다는 ‘유랑단’을 전면에 내세웠으니까요. 부정과 부정이 만나면 강한 긍정이 된다는 수사법처럼 <댄스가수 유랑단>은 그동안 비하되었던 이들의 위상이 달라졌음을 만천하에 선언합니다.

그런데 왜 댄스가수는 ‘무용가수’나 ‘춤가수’가 아닐까요? 댄스나 무용, 춤이 같은 뜻이라면 후자의 단어조합이 더 자연스러울 텐데요. 하나의 단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변하고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섬세하게 구별됩니다. 오늘날 이 용어들은 구별 없이 사용되곤 하지만 그 뉘앙스까지 같은 것은 아닙니다. 댄스가수를 댄스가수라 불러야 왠지 자연스러운 이유는 뭘까요? 이를 이야기하려면 ‘추석이란 무엇인가’처럼 ‘춤/무용/댄스란 무엇인가’를 물어야겠지만, 칼럼의 길이 제한 상 ‘춤/무용/댄스는 어떻게 다른가’만 다루고자 합니다.
댄스가수를 춤가수, 무용가수로 안 부르는 이유
댄스가수를 춤가수, 무용가수로 안 부르는 이유
우리나라에서 춤을 지칭하는 용어는 전통사회가 현대사회로 급격히 전환되었던 20세기 초에 다양해졌고 그 의미도 급변했습니다. 전근대시기에 춤을 두루 일컫던 용어는 ‘춤’이고 특히 궁중춤인 정재를 문헌에서 기록하던 용어가 ‘무(舞)’입니다.

그러나 20세기 초 서양에서 사교춤과 민속춤이 유입되자 이를 ‘무도(舞蹈)’나 ‘딴스’라 불렀습니다. 서양 공관에서 외교관들이 ‘무도회’를 열었다면 모던걸, 모던보이들은 ‘딴스홀’에 모였습니다. 사실 무도는 한자문화권에서 춤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무(舞)는 상체 움직임을, 도(蹈)는 하체 움직임을 지칭합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무용교육기관 명칭이 북경무도학원이라는 점에서 보듯 무도는 지금도 중국어에서 춤 일반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20세기 초 조선에선 전통춤, 특히 기생의 춤과 대비되는 서양 사교춤을 지칭했습니다.

예술춤을 지칭하는 ‘무용(舞踊)’도 있습니다. 20세기 초 독일에선 노이에 탄츠(Neue Tanz)라는 새로운 춤 장르가 등장했습니다. 고전발레 형식에서 탈피해 자유로운 표현을 중시한 춤으로 미국 모던댄스와 동시대에 발생했습니다. 일본에서 노이에 탄츠를 ‘신무용(新舞踊)’이라 일역(日譯)하였고, 이시이 바쿠(石井漠)라는 일본 무용가의 공연으로 이 땅에 소개되었습니다. 이후 무용은 노이에 탄츠라는 특정 장르를 지칭하기보다는 서양식 극장예술춤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이시이 바쿠의 저서 <무용예술>
이시이 바쿠의 저서 <무용예술>
‘댄스’는 어떤가요? 영어 dance를 음차표기한 댄스는 서양에서 유입된 대중여흥춤을 지칭해왔습니다. 1937년 기생과 마담, 배우 등이 일본 경무국장에게 보냈던 유명한 공개서한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처럼 ‘딴스’는 대중의 자본주의적 욕망과 여흥에 대한 욕구가 응집된 현상이었습니다. 식민시기 딴스홀부터 90년대 클럽댄스와 콜라텍까지, 댄스는 전공자들이 행하는 고고한 예술무용 이외의 여흥춤을 두루뭉술하게 포괄했습니다.

서양예술인 ‘무용’과 조선 재래의 ‘춤’, 그리고 서양 사교춤인 ‘무도’와 대중문화인 ‘댄스’는 한때 뚜렷하게 구별되며 위계를 형성했습니다. 그래서 1980~1990년대에 성장한 저는 무용학원을 다니고 무용과에 입학해 무용학과 예술무용을 배웠습니다. 춤추는 이에 대한 비하가 팽배하던 시절 ‘무용’은 곧 예술이었고 우월함을 상징했습니다.

하지만 의미는 고정되지 않고 계속 변화합니다. 춤의 가치에 대한 자신감이 충분해지면서 ‘춤’이라는 용어가 돌아왔습니다. 1976년부터 무용평론가 조동화 선생님이 발행했던 <춤>이라는 전문잡지가 춤 용어를 복권시키는 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면, 춤꾼, 춤판, 춤사위, 춤집 등의 용어가 전통춤을 거쳐 무용계 일반으로 퍼졌습니다. 전근대시기와 같은 용어이지만 긍정-부정-재긍정의 단계를 거쳤으니 의미가 동일하다고 말할 수는 없지요.
이시이 바쿠의 <수인>
이시이 바쿠의 <수인>
무용과 춤의 위계가 극장예술춤을 중심으로 흐려졌다면, 무용과 댄스의 위계는 K팝 댄스의 국제적 활약으로 인해 무너진 듯합니다. 예술춤에서 밀려나고 대중문화에서 조롱받던 댄스가요가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인 K팝으로 탈바꿈하면서 댄스라는 용어에 드리웠던 비하도 지워졌습니다. 한때 댄스가수라 가벼이 취급당하던 이들이 모여 결성한 ‘댄스가수 유랑단’은 그들의 자신감과 자긍심을 드러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