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연구팀, 청소년 자해 장면 방송 전후 비교
자해로 응급실 방문한 청소년, 10~14세 3배 이상·15~19세 2배 가까이 늘어
"자해 다룬 콘텐츠 방송되자 청소년 자해시도 갑자기 늘었다"
자해를 다룬 콘텐츠가 방송된 후 아동과 청소년의 자해 시도가 크게 늘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3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김효원·이태엽,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의 이런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인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한 유료방송채널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자해 관련 내용이 방송된 2018년 3월말 전후의 아동·청소년 자해 시도 건수를 비교했다.

분석에는 2015년~2018년 응급실을 방문한 자 중 자해로 인한 환자 11만5천647명의 데이터가 사용됐다.

방송 전인 2018년 2~3월 인구 10만명당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는 10~14세 0.9명이었던 것이 같은해 4~12월 3.1명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또 15~19세는 5.7명에서 10.8명으로, 20~24세는 7.3명에서 11.0명으로 각각 늘어 차이가 확연했다.

인구 10만명당 응급실 방문자수는 그해 유독 높았다.

10~14세의 경우 2015년 8.1명, 2016년 10.1명, 2017년 14.2명으로 완만하게 늘다가 2018년 31.1명으로 크게 높아졌다.

15~19세는 2017년 76.0명에서 2018년 119.0명으로, 20~24세는 그 사이 97.6명에서 127.1명으로 갑자기 늘었다.

이 프로그램은 당시 방송에서 출연자가 손목 자해를 암시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노래 '바코드'를 부르는 장면을 방송했다.

프로그램은 당시 청소년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모았고 이 노래와 가수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연구팀은 프로그램 방송 후 특히 10대 후반 여성과 20대 초반 남성에게서 자해 시도 증가세가 컸다며 자해 방법을 살펴봐도 신체 선 긋기에 의한 자해가 현저히 늘었다고 설명했다.

김효원 교수는 "미디어 속 자해 콘텐츠가 청소년기 아이들에게 '자해는 해도 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며 "표현의 자유는 존중돼야 하지만 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해 다룬 콘텐츠 방송되자 청소년 자해시도 갑자기 늘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