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에 공급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진접 유승한내들 더테라스’ 조감도. 사진=유승종합건설
경기도 남양주시에 공급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진접 유승한내들 더테라스’ 조감도. 사진=유승종합건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심화하면서 내 집 마련에 부담을 느끼는 무주택자들에게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대안으로 부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부동산시장은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3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동산 동향 자료에 따르면, 2분기 전국 주택매매가격지수는 1분기(0.14%)보다 낮은 0.07% 상승률을 나타냈다. 수도권은 1분기(-0.01%) 대비 0.05% 떨어져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4~5월 전국 주택 거래량도 전년 동기(19만1000가구) 대비 36.2% 대폭 감소한 12만2000가구에 그쳤다. 대출·금리 압박, 집값 고점 인식 등에 따라 주택 매수심리가 위축된 탓으로 풀이된다.

주거비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국 주택 평균 전셋값은 2억5414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2억1391만원보다 18.8% 상승한 가격이다. 평균 월세가격 역시 65만8000원에서 74만6000원으로 13.4% 상승했다.

이러한 시장 분위기 속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청약열기가 오르고 있다. 지난 4월 청약 접수에 나선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삼송 서한 비아티움’은 340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6797건의 신청이 몰려 평균 19.99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7월에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힐스테이트 관악 뉴포레’가 111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536건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이 94.9대 1에 달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주변 시세의 85~95% 수준의 합리적인 임대료를 책정하고 있고, 임대료 상승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된다. 최대 8~10년까지 장기 거주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거 안정성도 높다. 만 19세 이상이면 청약통장 없이도 누구나 접수가 가능하며, 무주택 자격도 유지된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비교적 낮은 가격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데다, 분양주택 청약도 가능하다"며 "상대적으로 자금 여유가 적은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