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주의 관사 벽에 쓰다(書端州郡齋壁)


맑은 마음은 정치의 뿌리요
바른 도리는 이 몸이 추구하는 것.
빼어난 나무는 훗날 용마루가 되고
좋은 쇠는 갈고리가 되지 않는 법.
창고가 가득하면 쥐와 참새가 즐겁고
풀이 다하면 토끼와 여우가 근심한다.
역사책에 남긴 가르침이 있으니
후세에 부끄러움을 남기지 말 일이다.


포증(包拯, 999년~1062) : 청렴했던 송나라 재상.
---------------------------------------
[고두현의 아침 시편] 황제 선물까지 돌려보낸 포청천
포청천으로 유명한 송나라 재상 포증(包拯)의 시입니다. 제목 ‘단주의 관사 벽에 쓰다(書端州郡齋壁)’에 나오는 단주(端州)는 광둥성 조경(肇慶)과 운부(雲浮)의 옛 이름이지요. ‘군재(郡齋)’는 군수가 사는 관사를 가리키니, 단주 군수로 재직할 때 관사의 벽에 써놓은 시를 뜻합니다.

좋은 목재가 동량이 되려면…

‘맑은 마음(清心)’과 ‘바른 도리(直道)’는 그가 근본으로 삼던 정치 덕목입니다. 이것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목재도 ‘동량(용마루)’이 될 수 없다고 믿었죠. 훌륭한 인재가 부도덕한 관리로 추락하는 것은 이 덕목을 잃을 때 일어나는 비극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좋은 쇠는 갈고리가 되지 않는 법’이니, 꼼수를 부려 남을 해치는 사람이 되지 말라는 것입니다. 곳간에서 제 배 채우기에 급급한 쥐와 참새는 탐관오리의 또 다른 상징이죠.

그가 얼마나 청렴했는지를 알려주는 일화가 있습니다. 환갑이 됐을 때였죠. 그는 아들 포귀(包貴)에게 모든 선물을 사절하라고 단단히 일러뒀습니다. 그런데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습니다. 제일 먼저 환갑 선물을 보내온 사람이 하필 인종 황제였지요.

아들은 매우 난처했습니다. 고민 끝에 선물을 갖고 온 태감에게 ‘이 특별한 선물을 받아달라’는 메모를 써달라고 부탁했죠. 태감은 고개를 끄덕이며 즉석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그대는 덕망 높은 일품 관리, 밤낮으로 수고로움 아끼지 않으니 당나라 현신 위징 같은 존재요, 황상께서 보내신 선물을 문밖에서 거절하는 건 도리가 아닌 듯하오.’

메모를 본 포증은 다음과 같은 답시를 써서 황제의 선물과 함께 되돌려 보냈습니다.

‘철 같은 얼굴로 사심 없이 일편단심 충성을 다하였네. 관리가 공치사하는 건 아니될 일. 노고를 아끼지 않는 건 관리의 본분이로되 선물을 거절하는 건 청렴한 풍조를 열기 위해서여라.’

황상이 내린 선물은 값어치를 따지기 전에 무한한 신뢰와 영광의 증표일 수 있지만, 그는 과감하게 거절하고 돌려보냈습니다. 이런 일화들이 모여 청백리의 대명사가 됐지요.

부정부패 땐 고향 오지 못하게

그는 관료 생활 내내 사적인 인연에 얽매이지 않고, 사심 없이 공평한 정치를 펼쳐 백성들에게 인망이 높았습니다. 이 때문에 기득권층에게 암살 위협을 받기도 했지만, 각지에서 무림의 고수들이 자원해서 그의 신변을 지켜주었다고 합니다.

그가 죽은 뒤에도 사람들을 그를 그리워했죠. 그를 주인공으로 한 희극과 시, 드라마 등이 줄을 이었습니다. 1990년대 한국에 소개된 드라마 ‘판관 포청천’도 그중 하나죠.

포청천을 판관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그는 개봉부윤(開封府尹), 즉 당시 수도인 개봉의 시장이었습니다. 재판만 한 것이 아니라 주변의 마적과 만리장성을 넘어오는 외적을 소탕하는 등 내·외치에 두루 능해 백성의 사랑을 듬뿍 받았지요. ‘후세에 부끄러움을 남기지 말 일’이라는 마지막 시구의 참뜻을 온몸으로 체현한 것입니다.

평생을 강직한 공직자로 산 그는 유언을 통해서도 후손들에게 부정부패를 저지르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내 자손들이 벼슬을 하여 부정부패를 저지르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하라. 그리고 그들이 죽은 이후에도 우리 포씨 집안의 선산에 묘를 쓰지 못하도록 하라!”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