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75개사 ESG 정량지표 분석 보고서 'K-ESG 팩트북' 발표

우리나라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탓에 실적이 악화됐음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는 적극적으로 투자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30대 그룹 75개사의 ESG 정량지표를 분석한 보고서 'K-ESG 팩트북 2021'을 발표했다.

분석 대상 기업들의 경영 실적은 경기 둔화 추세와 코로나19 팬데믹 등이 겹치면서 악화됐다.

전년 대비 매출 증감률은 2019년 -0.3%, 2020년 -2.1%였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19년 각각 -48.7%, -54.7%로 큰 폭으로 감소한 뒤 지난해 각각 12.0%, 12.1% 증가해 다소 회복됐다.

전경련 "기업들 코로나19 여파 속 ESG 경영에 적극 투자"
반면 이해관계자에 대한 경제적 가치 배분은 2018년 평균 12조3천750억원에서 2019년 13조6천26억원으로 10% 증가했고, 2020년에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13조2천1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배분 총액은 694조5천767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929조6천362억원의 74.7%였다.

특히 지난해에는 주주에 대한 환원인 배당금 총액이 75.9%로 크게 늘었다.

삼성전자는 배당금을 9조원에서 20조원으로 2배 이상 늘리기도 했다.

종업원 급여도 2019년 5.1% 늘었고, 2020년에는 2.7% 증가했다.

지역사회 환원인 기부금 평균도 지난해 38% 증가했다.

전경련 "기업들 코로나19 여파 속 ESG 경영에 적극 투자"
환경 분야 개선도 눈에 띄게 좋아졌다.

분석 대상 기업들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3년간 계속 줄었다.

온실가스 직·간접 배출량(스코프 1·2)은 2018년 314만t에서 2019년 310만t으로 1.4% 감소했고, 지난해 295만t으로 4.7% 또 줄었다.

소비자, 협력사, 물류 등 기업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의 간접 총배출량(스코프 3)도 2019년 -8.4%, 지난해 -7.9%로 감소세를 보였다.

전경련 "기업들 코로나19 여파 속 ESG 경영에 적극 투자"
기업당 평균 용수사용량과 폐수방류량은 2019년 소폭 증가했으나 지난해 각각 -3.2%, -1.6%로 줄었다.

용수 재사용량은 2년 연속 늘었다.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평균 배출량은 3년간 꾸준히 감소했고, 특히 황산화물은 2019년 전년 대비 22.8%로 감소하며 큰 폭으로 개선됐다.

물 오염 정도를 보여주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SS) 또한 2018년과 비교해 지난해에는 평균치가 모두 낮아졌다.

일반폐기물, 유해폐기물 배출량은 2018년부터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폐기물에 대한 재자원화율은 3년 연속 66%를 넘어서며 증가세다.

기업의 연평균 환경투자도 증가해 2018년 575억원에서 2019년 778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지난해에는 701억원이었다.

사회 분야에서는 인권과 산업안전, 다양성 증진에서 성과가 있었다.

인권보호 지침인 인권경영헌장을 도입한 기업은 27개사(36%)였으며, 도입하지 않은 기업도 윤리규범, 행동강령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 국제인증 'ISO45001'은 48개사(68%)가 취득하고 있었다.

여성 임원비율도 2018년 3.3%, 2019년 3.9%, 지난해 6.1%로 높아지고 있으며, 여성 관리자(과장∼부장) 비율도 8.5%, 9.5%, 10.8%로 상승세다.

하지만 고용 등 인적자원관리, 교육 등 인적자원개발, 사회봉사 등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글로벌 경기침체나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ESG 담당 위원회는 53개사(70.7%)에서 설치했다.

이들 기업에 대한 국민연금의 지분율은 평균 6.94%였다.

명칭은 ESG경영위, 지속가능경영위, 기업시민위, ESG전략위, 투명경영위, 거버넌스위 등 다양했고, 위원장은 교수 27명(50.8%), 관료와 기업인 각 10명(18.9%), 법조인 3명(5.7%) 등이었다.

준법경영, 기업윤리 의식 제고 교육도 강화해 기업당 준법경영교육 참석자 수는 연간 1만2천명 규모로 증가세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