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단체들, '에어컨 없이 살기'·'메일함 비우기' 등 친환경 캠페인 진행

[※ 편집자 주 = 이 기사는 충북 청주시에 사는 마재광(36)씨 등 제보를 토대로 취재해 작성했습니다.

"단순히 에어컨을 끄는 것과 기후변화 위험성이나 취약 계층의 고통을 인지한 채 에어컨을 끄는 것은 다릅니다.

"
'에어컨 없이 살기 챌린지'를 진행하고 있는 청년 단체 '청년너울'의 마재광(36) 대표는 폭염에 따른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고통을 체감하고 전파함으로써 선한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챌린지가 전기요금 절약을 위한 에어컨 끄기와 다르다고 설명했다.

[OK!제보] 한여름에 에어컨 끄는 청년들 "온실가스 줄이고 고통 분담해요"
거주 도시 청주의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른 지난달 21일부터 챌린지에 도전한 마 대표는 전화와 SNS를 통한 인터뷰에서 온실가스 줄이기를 실천하고 빈곤층 등 기후변화 취약 계층의 고통을 나누기 위해 챌린지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청년너울 챌린지에 참여하려면 에어컨을 끄고 선풍기를 켠 모습과 온도계 사진을 기후 위기에 대한 생각을 담은 글, '#기후위기', '#기후약자' 등 해시태그와 함께 SNS에 게시하면 된다.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에 따르면 에어컨 사용 1시간 줄이기로 이산화탄소를 연간 14.1㎏ 줄일 수 있다.

에어컨 냉방 온도를 2도 높이면 연간 5.3㎏ 저감할 수 있다.

마 대표는 "청년뿐 아니라 많은 시민이 댓글이나 DM(다이렉트 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응원을 보내고 에어컨 사용하지 않기에 동참했음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OK!제보] 한여름에 에어컨 끄는 청년들 "온실가스 줄이고 고통 분담해요"
비영리단체 대한민국 축복봉사단에서 약 20년 동안 활동한 김보미(43)씨는 폭염에 에어컨 없이 더위를 견디는 기후변화 취약 계층의 고통을 나누기 위해 에어컨 없이 살기 챌린지를 시작했다.

김씨는 "취약 계층 중 에어컨은커녕 선풍기도 없는 가정이 많다"며 "봉사단이나 시 차원에서 에어컨을 설치하지만, 전기료를 걱정해 에어컨을 이용하지 않고 더위를 견디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 청년들 "기후 변화로 농업 생산성 줄고 어류 집단폐사"
청년너울 외에도 다양한 청년단체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한 활동을 펼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기후위기대응청년협의체 와이옛(YYET)은 '탄소 제로 플래닛'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메일함 비우기와 햇반용기 프로젝트 등을 진행했다.

지난 1~2월 진행한 메일함 비우기는 스팸, 광고성 메일 등 불필요한 메일을 삭제함으로써 메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센터 내 장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려는 캠페인이다.

햇반용기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즉석밥 제조회사에 친환경적인 용기를 개발하고 소비자에게 올바른 용기 분리배출 방법을 알리라고 건의했다.

제주지역 청년 모임 '제주 기후위기 미래세대 네트워크'는 텀블러, 장바구니, 손수건 인증 등을 포함한 기후 위기 릴레이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작년 9월 12일 기후위기비상행동 '우리는 살고싶다'를 통해 화석연료 퇴출, 기후 위기 적응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기도 했다.

[OK!제보] 한여름에 에어컨 끄는 청년들 "온실가스 줄이고 고통 분담해요"
청년단체들은 이상 기후 현상으로 피해를 받은 농어민에 대한 대책도 촉구하고 있다.

농어민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19년 전국 715개 농가를 대상으로 이상 기후 적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 88.1%가 이상 기후를 실제로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이상 기후가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3.3%였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8~2019년 고수온으로 615억원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했고, 적조로도 45억원어치 피해가 생겼다
마 대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농어민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에어컨을 끄는 행동이 조금이나마 도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전문가 "에너지 수요 감축 노력·환경비용 세금 부과 확대 필요"
전문가들은 이상기후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산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에너지 고효율 제품 구매나 대중교통 이용 등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탄소 배출에 따른 환경 비용에 대한 세금 부과를 늘리고 이를 재생에너지 확대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변화 취약 계층을 위해서는 정부가 전기료와 냉방비용, 시설을 지원하고 취약 계층의 거주 시설을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수진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위원은 "취약 계층이 거주하는 노후 건축을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건축 자재로 리모델링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농어민이 이상 기후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도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성재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농협,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등을 통해 농민들이 기후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도희 목포해양대 환경·생명공학과 교수도 "정부나 지자체가 기후변화에 대한 관리 기술 연구를 통해 해양 환경 변화를 조기 예측하고 경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