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파라핀 훼손돼도 태양열에 의해 저절로 회복"
벌레잡이통풀 닮은 오염물 튕겨내는 유리 개발
한국기계연구원은 임현의 박사와 성균관대 이진기 교수 연구팀이 벌레잡이통풀을 모사해 오염물을 튕겨내는 자기 세정 유리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에는 자기 세정 표면을 구현하기 위해 주로 연잎을 닮은 초발수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미끄러운 표면을 이용한 벌레잡이통풀의 표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자기세정 나노 유리를 개발했다.

벌레잡이통풀 표면은 다공성 구조에 기름칠이 돼 있어 벌레가 한 번 들어가면 미끄러워 빠져나오지 못한다.

하지만 기름과 같은 유체윤활제는 한번 씻겨 내려가면 자기 세정 기능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식물의 왁스층과 같은 고체윤활제인 파라핀을 이용해 유리 표면을 코팅했다.

파라핀은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열전도율이 낮다.

녹는점도 46∼68도로 낮아 세정 과정에서 파라핀이 훼손되더라도 태양열에 5분 정도만 노출되면 다시 녹았다가 굳으면서 저절로 자기회복이 가능하다.

나노 구조물 사이 공기층과 파라핀층 덕분에 겨울철에도 유리 위에 얼음이 잘 생기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임현의 박사는 "태양전지 분야에 활용해 먼지나 얼음 등으로 에너지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