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자체장 부동산 文 정부에서 평균 3억 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정부 3년간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장이 소유한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이 1인당 평균 41%(2억9000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기초단체장 65명 중 다주택자(본인·배우자 기준)는 16명에 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속한 기초단체장 65명의 부동산 재산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보유한 지자체장은 35명으로, 아파트와 오피스텔 시세가 문재인 정부 이후 가파르게 상승했다. 1인당 평균 2억9000만원, 4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7년 7월 이후 시세가 많이 오른 상위 10명의 증가액은 1인당 평균 7억원, 상승률은 53%로 나타났다. 시세상승액 1위인 정순균 강남구청장이 강남구와 송파구에 보유한 아파트와 오피스텔 각 1채는 지난 2017년 5월 총 33억8000만원에서 지난 7월 46억1000만원으로 12억3000만원이 상승했다. 수도권 지자체장의 평균 부동산 재산은 10억8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자체장 중 상위 10명의 부동산 재산은 평균 39억원으로 국민 평균(3억원)의 13배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은 76억원의 부동산 재산을 보유해 1위였다. 정순균 강남구청장이 70억1000만원,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50억1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지자체장 65명 중 24%에 달하는 16명이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백군기 용인시장은 14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13채는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연립주택이며, 나머지 1채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아파트다. 본인 지역구에는 임차권만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철모 화성시장이 9채를 보유해 뒤를 이었다.
경실련 측은 “기초단체장들도 국민 평균 부동산재산의 4배 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주택 비중은 24%나 된다”며 “이것 때문에 문재인 정부 이후 집값 상승에 따른 국민 고통을 외면하고 집값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부동산 정책 개혁에 적극 나서지 못한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속한 기초단체장 65명의 부동산 재산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보유한 지자체장은 35명으로, 아파트와 오피스텔 시세가 문재인 정부 이후 가파르게 상승했다. 1인당 평균 2억9000만원, 4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7년 7월 이후 시세가 많이 오른 상위 10명의 증가액은 1인당 평균 7억원, 상승률은 53%로 나타났다. 시세상승액 1위인 정순균 강남구청장이 강남구와 송파구에 보유한 아파트와 오피스텔 각 1채는 지난 2017년 5월 총 33억8000만원에서 지난 7월 46억1000만원으로 12억3000만원이 상승했다. 수도권 지자체장의 평균 부동산 재산은 10억8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자체장 중 상위 10명의 부동산 재산은 평균 39억원으로 국민 평균(3억원)의 13배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은 76억원의 부동산 재산을 보유해 1위였다. 정순균 강남구청장이 70억1000만원,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50억1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지자체장 65명 중 24%에 달하는 16명이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백군기 용인시장은 14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13채는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연립주택이며, 나머지 1채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아파트다. 본인 지역구에는 임차권만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철모 화성시장이 9채를 보유해 뒤를 이었다.
경실련 측은 “기초단체장들도 국민 평균 부동산재산의 4배 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주택 비중은 24%나 된다”며 “이것 때문에 문재인 정부 이후 집값 상승에 따른 국민 고통을 외면하고 집값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부동산 정책 개혁에 적극 나서지 못한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