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패트리엇 미사일로 요격 가능"…'PAC-3 MSE형' 요격고도 40여㎞
남북한 탄도미사일 '풀업기동'…끝 모를 '미사일 기술' 경쟁
北, 미사일 고도 30㎞로 저각발사…요격회피·비행성능 시험
북한이 31일 엿새 만에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이 고도 30㎞로 비행한 것으로 분석되면서 저고도 발사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은 지난 5월 4일 고도 60여㎞(1발 240여㎞ 비행), 같은 달 9일 고도 45~50㎞(2발·270∼420㎞ 비행), 지난 25일 고도 50여㎞(2발·600㎞ 비행)로 각각 발사했다.

이들 미사일은 모두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KN-23 탄도미사일로 확인됐다.

군 당국은 이날 발사한 미사일도 이스칸데르급에 무게를 두고 정밀 분석하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오늘 북한 미사일 발사는 시험 발사로 추정한다"면서 "지난 25일과 유사한 미사일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군 관계자들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계속해서 저고도로 발사한 것은 요격 회피 능력을 과시하고, 저각발사 때의 비행 성능을 테스트하려는 의도라고 입을 모은다.

탄도미사일이 마하 6∼7 속도에 고도 30㎞로 비행하면 지상에서 발사한 요격 미사일로 격파하기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패트리엇 요격탄은 보통 마하 4~5 수준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이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구나 저고도로 비행하면 요격 시간이 충분하지 못해 놓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계속 저고도로 발사한 것도 이런 약점을 노린 비행 테스트라고 군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북한이 5월과 지난 25일 발사한 이스칸데르급 미사일은 하강 단계의 속도가 패트리엇 요격탄 속도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이 작전 배치한 PAC-2와 도입을 추진 중인 PAC-3 MSE(Missile Segment Enhancement) 요격탄의 속도는 마하 4~5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미사일을 패트리엇으로 충분히 요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이날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제61회 KIDA 국방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북한이 발사한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형태의 미사일과 관련해 저고도에서 풀업(pull-up·하강단계서 상승) 기동을 해서 요격이 어렵지 않겠느냐고 하는데 어려울 수 있지만, 우리 방어자산의 요격성능 범위에 들어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모든 작전 운영시스템도 북한보다 우리가 월등하다"면서 "군사정찰 위성 같은 사업들은 현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충분히 방어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北, 미사일 고도 30㎞로 저각발사…요격회피·비행성능 시험
군은 요격고도 40여㎞ 이상의 PAC-3 MSE 유도(요격)탄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에서 도입할 계획이다.

PAC-3 MSE 유도탄은 로켓 모터와 미사일 조종 날개 등을 개선해 명중률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유도탄 사거리는 군이 운용 중인 PAC-3 CRI(사거리 20여㎞)보다 2배가량 길다.

주한미군은 기존 패트리엇을 이미 PAC-3 MSE로 전량 성능개량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기존 배치한 패트리엇 발사체계를 개량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도입할 PAC-3 MSE 유도탄을 쏠 수 있도록 발사관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4개의 발사관을 16개로 늘리고, 북한 탄도미사일을 포착하는 레이더의 탐지 성능도 함께 개선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기존에 배치된 패트리엇 시스템을 레이더 성능과 요격탄 사거리를 늘리는 쪽으로 성능을 개량하고 있다"면서 "아울러 하강하는 미사일을 빠른 속도로 직격(Hit-to-Kill)하는 PAC-3 MSE 요격탄을 구매한다"고 설명했다.

군은 중거리 지대공미사일(M-SAM) 철매-Ⅱ와 패트리엇, 현재 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요격고도 50~60여㎞) 등으로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통상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이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하더라고 실전배치까지는 1∼2년 정도 소요된다.

군은 이런 점을 고려해 KAMD 구축에 예산을 더 투입해 구축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다.

북한이 풀업 기동을 하는 KN-23 탄도미사일을 선보이자, 군이 풀업 기동을 하는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점도 눈에 띈다.

정 장관은 KIDA 포럼에서 "최근에 풀업 기동이라고 하는 것도 훨씬 오래전에 ADD(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해서 가진 기술이다"며 "우리가 훨씬 더 우수한 정밀도를 갖고 있어 더는 불안해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이 언급한 풀업 기동 탄도미사일은 사거리 500㎞의 현무-2B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현무-2A(사거리 300㎞), 현무-2B(500㎞), 현무-2C(사거리 800㎞) 탄도미사일을 비롯해 현무-3(1천㎞) 순항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현무-2B 미사일의 풀업 기동은 북한판 이스칸데르급보다 더 정교하고, 북한보다 먼저 개발한 기술인 것으로 알려졌다.

풀업 기동이 정교하면 상대방의 요격도 그만큼 어려워진다.

한국의 현무-2B, 북한의 KN-23,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탄도미사일이 크기와 사거리도 비슷하고, 풀업 기동 기술도 갖춰 '세쌍둥이' 미사일이란 평가도 나온다.

북한은 이스칸데르 미사일 회피 기동 기술을 러시아에서 받았지만, 한국의 ADD는 독자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北, 미사일 고도 30㎞로 저각발사…요격회피·비행성능 시험
남북한 탄도미사일 기술이 갈수록 진화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끝 모를 '미사일 경쟁'에 돌입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북한은 전역에 구축된 3개 미사일 벨트에 각종 미사일 1천여기를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무장지대(DMZ)에서 북쪽으로 50∼90㎞ 떨어진 지역에 구축된 제1 벨트에는 남한 전역을 타격하는 스커드(사거리 300∼700㎞) 미사일이 자리 잡고 있다.

현재 500∼600여 기가 배치됐고 이동식발사대(TEL)도 40대 안팎이다.

DMZ 북방 90~120㎞에 구축된 제2 벨트에는 노동미사일(사거리 1천300㎞)이 배치됐다.

200∼300기가량 있는 노동미사일의 TEL은 30대 가량이다.

제3 벨트는 평안북도 철산에서 함경남도 검덕산과 자강도 중강을 기준으로 한 후방지역이다.

DMZ에서 175㎞ 북쪽인 이곳에는 30∼50여 기로 추정되는 무수단 미사일이 배치돼 있다.

30대 안팎의 TEL에 의해 이동하면서 발사하면 괌 미군기지까지 타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화성-14·15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도 배치될 가능성이 있어 군은 예의 주시하고 있다.
北, 미사일 고도 30㎞로 저각발사…요격회피·비행성능 시험
이에 맞서 군도 현무 계열 탄도미사일 수량을 더욱 늘릴 계획이다.

군 당국은 한미연합훈련이 내달 5일부터 시작되고, 북한군 하계훈련도 진행 중인 만큼 북한의 미사일 추가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의 주시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지난 25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미연합훈련 실시와 F-35A 스텔스 전투기 등의 도입에 대한 '위력시위사격'이었다고 밝힌 점에 주목하고 있다.

F-35A는 현재 4대가 국내에 도착했으며, 다음 달 4대 등 순차적으로 연말까지 13대가 도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까지 총 40대가 전력화될 계획이다.

다음 달 1호기를 시작으로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도 4대도 국내에 도착한다.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첩보 위성 수준급 무인정찰기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차량(TEL)이 동해안에서 계속 식별되고 있다"면서 "한미 군 및 정보 당국은 북한의 추가 발사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北, 미사일 고도 30㎞로 저각발사…요격회피·비행성능 시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