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부동산세가 처음 도입된 2005년과 비교하면 서울 내 6억원 초과 아파트는 4.7배 많아졌다.

부동산114는 지난 6월 현재 서울 159만9천732가구 중 20.0%에 해당하는 32만460가구가 6억원을 초과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가운데 9억원 초과 아파트는 16만5천324가구로 전체의 10.3%를 차지했다.

다주택자의 경우 6억원 초과, 1주택자의 경우 9억원 초과 아파트를 종부세 적용을 받는 고가 아파트로 분류한다.

2005년 당시 6억원 초과 아파트는 6만6천841가구, 9억원 초과 아파트는 2만9천447가구로 전체(118만7천792가구)의 각각 5.6%와 2.5%였다.

고가 아파트의 범위도 확대됐다.

아파트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서는 곳은 2005년 강남, 서초, 송파, 용산에 국한됐지만, 현재는 서울 25개 구 중 13개 구의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했다.

서울 평균 호당 평균가격은 7억6천976만원이었다.

행정구역별로는 강남구(16억838만원)가 가장 높았고, 서초구(15억7천795만원), 용산구(11억6천504만원), 송파구(11억5천395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외 경기도 과천(10억6천만원), 성남(6억9천만원) 등도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는 고가 주택의 확산과 보유세 개편이 맞물리면서 앞으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주택자가 세 부담을 피해 미래가치가 높은 집 한 채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다주택자는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거나 보유주택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갈 텐데 이 과정에서 똘똘한 한 채만 남기려는 현상이 강해질 것"이라며 "강남권 아파트는 당분간 오름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10채 중 2채는 6억원 초과…2005년 대비 5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