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일전불사를 선언한 중국이 우군 확보에 나서고 있다.

다른 나라와 교역·투자 관계를 개선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따른 충격을 일정 부분 상쇄하면서 세계 통상질서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26일 신화통신과 글로벌타임스 등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가 이끈 무역사절단이 지난 23일 닷새간 일정으로 인도를 방문했다.

방문 목적은 양국 경제·교역 관계와 실용적 협력의 강화다.

중국 무역사절단의 인도행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600억 달러(65조 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하고 중국 정부가 대미 보복 관세 부과를 선언한 때와 맞물려 이뤄졌다.

직물, 농업, 제약 업종 등의 30여 개 기업으로 구성된 중국 무역사절단은 인도 측과 23억7천만 달러(2조5천600억 원) 규모의 101개 통상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품목에는 블랙티, 피마자유, 페퍼민트 오일, 코코넛 섬유 등이 포함됐으며 모두 인도에 유리한 제품이라는 중국 상무부의 설명에 비춰볼 때 중국이 인도에 시장 개방을 확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美와 '무역전쟁' 中, '인도를 우군으로' 2조5천억원 교역계약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글로벌전략연구소의 자오장린 연구원은 "이번 양측의 계약은 양국 정치관계의 개선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경 분쟁으로 일촉즉발의 무장대치 사태까지 빚었던 중국과 인도는 최근 긴장 완화를 위한 화해의 손짓을 서로 보냈다.

양국 외교수장은 상호존중이나 타협을 통한 영유권 분쟁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재선출을 축하했다.

중국 광둥 성 선전에서는 23일 약 350개 중국 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인도 전자시장 투자를 모색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중국·인도 기업 협력사업에 정통한 왕차오는 "양국의 정치적 마찰에도 인도에서 중국 기업의 투자는 최근 몇 년간 증가해왔다"며 인도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했다.

구샤오쑹 중국 광시사회과학원 부소장은 중국이 미국의 대중 보호무역 조치에 따른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인도를 포함한 모든 아시아 국가와 교역 관계를 개선하기를 원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제조업과 다른 분야에서 인도의 급속한 발전을 고려할 때 중국과 인도의 경제·협력 잠재력은 크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