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분양 후 비즈니스 키워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
저성장기 일본 주택시장 분석
개발·관리·운영 통합모델 필요
저성장기 일본 주택시장 분석
개발·관리·운영 통합모델 필요
국내 건설회사들이 지금의 분양 중심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개발·관리·운영을 아우르는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9일 발표한 ‘일본 임대주택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연구보고서에서 “한국 주택시장의 호황기가 마무리되고 있다”며 “이제는 분양 중심의 단기 사업에서 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장기 사업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윤경 연구위원(사진)은 한국보다 먼저 저성장기에 진입한 일본의 주택시장을 심층 분석했다. 1955년 설립된 일본 다이와하우스공업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가 저성장기에도 괄목할 만한 매출 증가를 기록한 비결은 ‘기획·설계→시공→임대차→관리·운영’으로 이어지는 가치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허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일본에서 장기 저성장기에도 성장한 건설사는 대부분 임대주택사업을 영위하는 곳”이라며 “국내 건설사들도 본격적인 저성장기가 오기 전에 시장 지위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이토켄타쿠의 사례는 혁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 회사는 단독주택용 임대주택 상품으로 저성장기에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최근 맨션 중심으로 확대되는 시장에서 정체기를 겪고 있다. 지속적인 혁신 없이는 산업도 기업도 도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주택시장은 전세제도로 인해 임대주택사업이 주력사업으로 자리잡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허 연구위원은 “시장 변화와 성숙도에 대응해 단계별로 상품과 가치순환 확대를 준비하고 시공과 운영 부문의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성장 구조의 또 다른 모델로 대규모 복합개발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는 종합부동산업체로 성장한 미쓰이부동산을 제시했다. 미쓰이부동산은 대도시의 대규모 복합개발을 기반으로 지역 전체를 활성화해 자산가치 상승 및 임대수익 극대화를 동시에 이끌고 있다. 다만 장기 보유가 가능한 자금조달 능력과 비주거용의 운영 역량이 뒷받침돼야 하는 방식이다. 허 연구위원은 “소비자가 ‘시공·분양’을 넘어 ‘관리·운영’을 아우르는 토털서비스를 원하는 만큼 건설사들도 ‘개발·관리·운영’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9일 발표한 ‘일본 임대주택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연구보고서에서 “한국 주택시장의 호황기가 마무리되고 있다”며 “이제는 분양 중심의 단기 사업에서 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장기 사업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윤경 연구위원(사진)은 한국보다 먼저 저성장기에 진입한 일본의 주택시장을 심층 분석했다. 1955년 설립된 일본 다이와하우스공업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가 저성장기에도 괄목할 만한 매출 증가를 기록한 비결은 ‘기획·설계→시공→임대차→관리·운영’으로 이어지는 가치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허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일본에서 장기 저성장기에도 성장한 건설사는 대부분 임대주택사업을 영위하는 곳”이라며 “국내 건설사들도 본격적인 저성장기가 오기 전에 시장 지위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이토켄타쿠의 사례는 혁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 회사는 단독주택용 임대주택 상품으로 저성장기에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최근 맨션 중심으로 확대되는 시장에서 정체기를 겪고 있다. 지속적인 혁신 없이는 산업도 기업도 도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주택시장은 전세제도로 인해 임대주택사업이 주력사업으로 자리잡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허 연구위원은 “시장 변화와 성숙도에 대응해 단계별로 상품과 가치순환 확대를 준비하고 시공과 운영 부문의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성장 구조의 또 다른 모델로 대규모 복합개발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는 종합부동산업체로 성장한 미쓰이부동산을 제시했다. 미쓰이부동산은 대도시의 대규모 복합개발을 기반으로 지역 전체를 활성화해 자산가치 상승 및 임대수익 극대화를 동시에 이끌고 있다. 다만 장기 보유가 가능한 자금조달 능력과 비주거용의 운영 역량이 뒷받침돼야 하는 방식이다. 허 연구위원은 “소비자가 ‘시공·분양’을 넘어 ‘관리·운영’을 아우르는 토털서비스를 원하는 만큼 건설사들도 ‘개발·관리·운영’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