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우리나라 산림 면적은 2015년 말 기준 633만5000㏊로 국토의 63.2%를 차지한다. 꾸준한 치산녹화 활동 덕분에 산림의 나무 총량을 나타내는 임목축적이 2003년에 비해 2배가량 늘었고, 산림자원 가치가 높은 장령림도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국토 면적 대비 산림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핀란드(73.1%), 일본(68.5%), 스웨덴(68.4%)에 이은 4위다.

그러나 우리나라 산림은 기후적, 지형·지질적, 인위적 요인으로 인해 산사태·산불·병해충 등 산림재해 발생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봄에 건조한 날씨와 바람으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여름에는 연평균 강수량의 대부분이 집중되는 데다 태풍 등의 영향으로 산사태가 일어나서다. 소나무를 100% 말라 죽이는 소나무재선충병 기세도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우리 국민을 ‘산림재해’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연중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산림재해 순식간에 인명·재산 뺏어가

[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을 지켜라
여름으로 접어들었는데도 이례적으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극심한 가뭄에 입산자들의 방심이 부른 실화가 대부분이다. 이달 들어 서울 3곳에서 산불이 발생했을 정도다. 강원 춘천과 경기 양주, 경북 성주 등을 합쳐 이달 현재 26건의 산불이 일어났다. 강우량이 평년의 절반 이하에 머물며 토양과 대기가 바짝 메말라 마치 산불이 자주 나는 4월과 같은 상태여서다.

산불은 한 번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이 번진다. 우리나라 최대 산불로 기록된 동해안 초대형 산불이 대표적이다. 2000년 4월7일 강원 고성과 강릉에서 동시에 발생했다. 이후 9일간 순간 최대 풍속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동해와 삼척을 거쳐 경북 울진까지 확산됐다. 이 산불로 백두대간을 포함해 5개 시·군의 울창한 산림 2만3794㏊가 검은 숯덩이로 변했다. 피해액만 600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사상 최대 산불이 동해안 산림을 초토화한 것이다. 최근 5년간 1999건의 산불이 발생해 1557㏊가 불에 탔고 730억원의 재산 피해를 봤다.

산림청 관계자는 “2019년까지 1100억원을 투입해 산불, 산사태, 병해충 등 산림재해와 산림생태계의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는 시스템이 완성된다”며 “시스템 구축으로 산림재해로부터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을 지켜라
최첨단 기술로 성과 내는 산림재해 예방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국방부와 협조해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 산악 기상관측망 12곳을 구축했다. 북측에서 남하하는 산불을 감시하고 산사태, 토석류 쏠림 등으로부터 우리 장병과 군사시설을 지키기 위해서다. 산림청은 접근불능 지역에서 관측되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융합해 산림재해 예측 정확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무인기 활용 전진기지인 산림무인기운영센터도 개소했다. 무인기는 열화상 센서를 통해 산림재해 발생 시 헬기 투입이 불가능한 우천 시나 야간 시간대 등의 시간대에 재난에 대응한다.

산사태 예측·분석센터도 최첨단 기술로 무장했다. 산사태 발생 예측정보 제공은 물론 피해 규모가 크거나 인명 피해를 유발한 산사태가 발생했을 때 그 현장에서 산사태 원인과 피해 규모 조사를 담당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최첨단 기술을 이용해 산림재해를 줄이거나 예방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산림재해 예방도 기술투자 중심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을 지켜라
대전=임호범 기자 lhb@㏊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