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신공항 '제3의 선택'] 김해공항 확장 절차는…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7년 개발기본계획 수립
![[영남권 신공항 '제3의 선택'] 김해공항 확장 절차는…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https://img.hankyung.com/photo/201606/AA.11876920.1.jpg)
예비타당성 조사는 정부의 재정지원이 포함되는 대규모 신규 사업에 대해 경제성, 재원조달 방법 등을 검토해 사업성을 판단하는 절차다. 선심성 사업으로 인한 세금 낭비를 막기 위한 제도로 1999년 도입됐다.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을 넘는 건설사업, 정보화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이 대상이다. 기재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를 통해 진행한다.
ADVERTISEMENT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 당선 이후 사업을 재추진하면서 정부는 예상보다 김해공항의 수요가 급증했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김해공항 연간 국제선 이용객이 2020년 566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지난해 이미 591만명까지 늘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역을 맡은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은 가덕도와 밀양 대신 김해공항 확장을 최적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는 비교적 경제 논리에 입각해 객관적으로 이뤄지는 편”이라며 “밀양이나 가덕도가 선정되더라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안 좋게 나와 사업이 무산됐을 때의 정치적 파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