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느낌을 대구에서"…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완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최초 팔각형 형태와 컴팩트한 필드설계
다양한 편의시설과 이벤트석 마련
3월19일 공식 개장 후 삼성 라이온즈 구단 홈구장으로 사용
다양한 편의시설과 이벤트석 마련
3월19일 공식 개장 후 삼성 라이온즈 구단 홈구장으로 사용

대구라이온즈파크는 기존 대구야구장의 노후화로 새로 짓게된 구장이다. 대구시 수성구 연호동 인근 15만1379㎡ 부지에 총 사업비 1666억원이 투입돼 2012년 12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총 2만4300석, 수용인원 2만9000명 규모의 개방형 야구장으로 건립됐다.
ADVERTISEMENT
가장 독특한 점은 경기진행시 관람객이 햇빛을 등질 수 있도록 필드 축을 동북동(East-Northeast)향으로 배치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야구장이 남향으로 배치되어 관람시 눈부심이 발생했던 반면, 동북동향의 대구야구장은 오후 6시경에는 필드의 약 83%정도까지 그늘이 형성된다. 관람객과 선수 모두에게 쾌적한 경기환경을 제공한다. 대구야구장의 홈팀 관람석은 오후 4시께부터 전석에 그늘이 생기는 3루측으로 배치된다.
팔각형 외관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컴팩트한 필드 설계도 특징이다. 대구야구장은 MLB스타일의 직선 집중형식의 필드를 도입해 관람객과 선수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밀착시켜 보다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원형구장에 비해 직선형 관중석은 모든 좌석을 투수방향으로 배치했다. 그만큼 경기를 실감나게 볼 수 있다는 얘기다.

ADVERTISEMENT
국내 최대 크기의 주 전광판(36x20.4m)과 곳곳에 보조 전광판이 설치된다. 각종 영상·음향 효과로 경기를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들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필드의 흙과 그물망, 안전펜스까지도 메이저리그에서 모두 들여왔다.
대구야구장은 최근의 야구장 관람 트렌드를 반영해 다양한 편의시설과 이벤트석을 마련했다.하부와 상부 관람석 사이의 복도를 편의시설(개방형 메인콘코스)로 설계해, 관람객이 화장실이나 매점으로 이동하더라도 경기를 놓치지 않고 계속 즐길 수 있다. 외야석의 식음료 판매시설에도 관람석을 설치해 경기를 다양한 곳에서 관람할 수 있다.

ADVERTISEMENT
관람객수가 훨씬 많은 홈관중을 위해 좌석수를 55%로 늘리고, 홈팀 선수에게 최적화환 선수시설배치는 향후 국내야구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대구야구장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속의 야구장이라는 점이다. 국내 및 일본야구장은 모두 도시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야구장 주변이 건물로 둘러 쌓여있는 반면, 대구야구장은 메이저리그의 샌프란시스코 구장처럼 주변 자연과 연결되어 있다.
ADVERTISEMENT

대구야구장은 경기장 외부를 콘크리트 노출면으로 꾸며 입면 디자인도 수려하다. 콘크리트를 노출면으로 콘크리트 자체의 강도가 높고 시공의 품질이 높아야한다. 때문에 국내의 기존 야구장 건물에서는 보기 드물다. 아연도강판을 사용한 젊고 역동적인 외관 디자인도 독특하다.
야구장의 상단 골조는 모두 PC(Precast Concrete)공법이 사용되었다. PC공법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부재를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이다. 품질이 고르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부 관람객의 시야 확보를 위해 설치된 캔틸레버 형식의 관중석도 PC공법을 사용하기에 가능했다.
대우건설 금현철 대구야구장 현장소장은 “최고의 기술력을 동원해 대구시민들의 열정을 담아낼 수 있는 최고의 야구장을 차질 없이 건설하였다”며 “삼성이 전통의 야구명가인만큼 2016년 한국시리즈가 신축된 대구야구장에서 열리는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