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강원도 등 DMZ와 인접한 접경지역의 상생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통 인프라를 통한 지역간 접근성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홍배 한양대 교수는 23일 한국은행 경기본부 주관의 ‘한국은행 창립 65주년 기념’ 지역경제세미나에서 ‘접경지역의 특성별 유형구분과 경기도와 강원도의 협력을 통한 경제 활성화 전략’ 이란 연구 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접경지역의 경제 활성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월말부터 3개월 간 비무장지대에 접해 있는 경기도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과 함께 강원도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특성분석과 유형구분을 결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접경지역의 도로교통 인프라가 부족해 접경지역의 지역 간 그리고 지역 내 접근성 수준이 낮아져 인적·물적 교류의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접경지역 경제 활성화의 핵심 요소인 접근성을 나타내는 행정구역 면적(㎢)당 고속도로와 국도 등 도로연장 비율도 김포시(0.13), 파주시(0.14), 화천군(0.08), 양구군(0.09) 등으로 8개 조사 대상 지역 모두가 전국평균(0.18)보다 낮았다. 도로 인프라와 함께 8개 접경지역의 지역 간 물동량, 지역 선도 산업, 지역 인적자본 등 3가지 측면으로 조사한 특성분석도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물동량 분석 결과는 전국 1인당 평균 유출·입 물동량은 33t이었으나, 연구 대상 8개 접경지역 연간 1인당 물동량은 1.7t으로 전국 평균의 20분의 1수준으로 조사됐다. 8개 접경지역의 성장 가능성, 잠재성 등 3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조사한 유형구분도 안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의 성장 가능성 요소로 사용된 65세 이상 고령자비율은 김포시(10.1%), 파주시(10.8%)를 제외한 나머지 접경지역 모두 전국평균(10.9%)보다 높았다. 대졸이상 인구비율은 8개 시군 모두 전국평균(17.8%)보다 낮았다.

김 교수는 “파주시와 김포시를 제외한 6개 조사대상 접경지역은 성장가능성 및 잠재성 측면에서 낮은 수준으로 국가차원의 정책이나 협력이 없이는 자생적 성장이 사실상 어려운 지역들이다”며 “최우선적으로 도로 인프라를 전국평균 이상으로 향상시켜 양도의 접경지역 간 교류가 활발해 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원=윤상연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