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데니스 홍 미국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기계항공학과 교수는 상상력이 뛰어나고 창의력이 번뜩이는 과학자다. ‘로봇계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불리는 이유다. 2009년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 ‘브라이언’을 개발했다. 미국 최초의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찰리’도 그의 손에서 탄생했다. 미국 과학잡지 포퓰러사이언스가 선정한 ‘젊은 천재 과학자 10인’에 꼽히기도 했다.

홍 교수는 1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경제신문이 서울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개최하는 ‘스트롱코리아 창조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기초 강해야 융합시대 승자 된다’는 행사 주제에 맞춰 로봇이 앞으로 만들어갈 미래 모습과 국내 로봇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정부가 당장 돈 되는 연구만 요구할 게 아니라 기초과학, 원천기술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앞으로 창의적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로봇공학 수준을 어떻게 보나.

“한국 로봇 연구자 중에서도 똑똑하고 열심히 하는 이가 많다(인터뷰 이후 오준호 KAIST 교수팀이 제작한 휴머노이드 휴보가 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의 재난로봇경진대회에서 우승했다).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로봇이 다 모인다는 한 국내 전시회에 가본 적이 있는데 우수한 로봇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다른 곳에서 접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로봇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었다.”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으로 들리는데.

“정부의 연구비 지원 시스템 때문인 것 같다. 한국 정부는 당장 돈 되는 연구만을 요구한다. 당연히 연구자들이 실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자는 스트레스가 없어야 창의성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 압박이 심하면 해외에서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고 대충 짜맞추기 식으로 연구 보고서를 내게 된다. 이런 환경에서는 새로운 게 나오기 어렵다.”
데니스 홍이 개발한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찰리’.
데니스 홍이 개발한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찰리’.
▷선진국 과학연구 환경의 특징은.

“선진국이라도 미국과 일본은 다르다. 혼다 ‘아시모’ 덕분이긴 하지만 로봇 강국으로 일본을 떠올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일본은 휴머노이드 분야에 집중 투자해왔다. 이와 달리 미국은 원래 휴머노이드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보다 정부 차원에서 꾸준히 지원한 분야는 기초과학 원천기술 쪽이다. 그러던 중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터졌다. 미국에서도 재난 구호용 휴머노이드를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딱 1년 동안 일본을 능가하는 휴머노이드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이게 기초과학의 힘이다.”

▷시각장애인용 자동차부터 다리가 세 개인 로봇, 지뢰 제거용 로봇 등 다양한 로봇을 개발했다.

“유명한 건축가인 루이 설리번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고 했다. 로봇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재난구호용 로봇은 지진, 화재부터 건물 붕괴, 선박 침몰, 전염병 유행, 방사능 유출, 총기·폭탄 테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람이 하던 임무를 대신 수행해야 한다. 그만큼 복잡한 기능이 필요하다. 사람을 닮은 로봇(휴머노이드)으로 개발하는 이유다. 사람이 쓰던 각종 장비 등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키울 수 있을지 관심이 많다.

“창의성은 무에서 유를 만드는 게 아니다. 기존에 있던 것을 적절히 연결하는 힘이다. 미 해군이 걷는 로봇을 만들어달라고 의뢰한 적이 있다. 고민하다가 예전부터 각종 아이디어를 메모해둔 노트를 폈다. 10년 전쯤 학생시절 공원에서 딸의 머리를 땋아주는 엄마의 모습을 유심히 관찰한 적이 있다. 세 갈래로 매듭을 묶는 원리를 연필로 스케치해뒀다. 거기서 영감을 받아 다리 세 개로 움직이는 ‘스트라이더’가 탄생했다.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찰리’의 이중관절도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돼 있던 사슴 화석의 무릎 구조를 본떠 만든 것이다.”

▷일반인이 그런 연결고리를 찾기 쉽지 않다.

“호기심이 원천이다. 머리를 꼬아 땋는 모습이 정말 신기했다. 그래서 원리를 파악해 그려둔 것이다. 그렇게 모아둔 아이디어 노트만 다섯 권이 있다. 이들 아이디어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지만 뭐든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전혀 다른 분야를 연결하는 힘이 곧 창의력이다. 이걸 가능하게 하는 것은 호기심과 지식, 경험, 소통이다.”

▷사람을 뛰어넘는 로봇이 출현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는데.

“최근 기사만 보면 당장이라도 인공지능 로봇이 나올 것처럼 얘기하는데 그렇지 않다. 아직은 멀고 먼 얘기다. 100년이 더 걸릴 수도 있다. 아직 사람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조차 정확하게 모른다. 로봇공학자로서 인공지능은 감정이나 자아 정체성을 갖는 게 아니라 외부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판단력을 갖추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로봇의 인공지능도 결국 소프트웨어 아닌가.

“그렇다. 우리는 로봇 하면 하드웨어만 생각한다. 사실 소프트웨어 없이 로봇은 한 발짝도 움직일 수 없다. 소프트웨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다. 코딩 언어를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요리를 익히거나 추리소설을 읽는 것 역시 도움이 된다. ”

▷한국 로봇산업의 미래는.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한국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잘 활용해야 한다. 우수한 인적 자원도 강점이다. 내가 보기에 한국 로봇산업의 미래는 밝다. 최근 한국에 한 달에 한 번 정도 온다. 그때마다 학교에서 초청 강연을 자주 한다. 로봇에 미쳐 있는 어린 꿈나무를 많이 만나게 된다. 다른 어떤 나라에서도 이렇게 열정적인 젊은 친구들을 보지 못했다.”

데니스 홍 약력

●197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출생
●서울고 졸업 ●고려대 기계공학과 중퇴
●미국 위스콘신대 기계공학과 졸업
●퍼듀대 대학원 기계공학과 졸업(공학 박사)
●버지니아대 기계공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 LA캠퍼스 (UCLA) 기계항공학과 교수 (로멜라로봇연구소장)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