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영화학도 출신의 반항아…車·금융·우주산업 'M&A시리즈' 로 인도 경제를 주름잡다
“기업인은 불확실성을 갈구해야 한다. 불확실성이야말로 우리의 직업이다. 제발 확실성을 찾지 말라. 그것은 (정부에 의해) 규제된다. 확실성을 찾는 것은 독재적인 경제다. 나는 그것의 일부이고 싶지 않다.”

지난해 2월4일자 타임지에 실린 아난드 마힌드라 마힌드라그룹 회장(59)의 발언이다. 당시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 참석했던 최고경영자(CEO)들과의 좌담회에서 그는 진취적인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이 같은 말을 남겼다. 평소 철학적 사유가 깊은 기업가로 손꼽히는 그의 면모를 짐작케 한다. 원래 가족 기업이던 마힌드라그룹은 그의 말처럼 도전의 역사를 거쳐 세계 굴지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파격적인 인도 재계의 반항아

인도 재계의 거물로 꼽히는 마힌드라 회장은 미국 하버드대의 영화학도 출신이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그는 영화 ‘스타워즈’에 빗대 조국의 상황을 설명하곤 한다. 인도는 부패, 정실인사가 횡행하는 ‘악의 제국’이고, 그의 희망은 중산층과 젊은 인도인들이 어둠(dark side)에 맞서 싸우는 제다이(Jedi) 기사가 되는 것이다.

마힌드라그룹의 기업문화 역시 연줄과 로비를 멀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마힌드라 회장도 뭄바이 본사를 벗어나 인도의 수도 델리를 방문하는 것을 마치 ‘전염병처럼’ 꺼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관계 인맥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다. 흔히 보수적이고 타협적이기 십상인 기업인들과 달리 독특한 그의 성향을 가리켜 이코노미스트는 “반항아 기질이 다분하다”고 묘사했다.

그의 일면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일화. 1991년 마힌드라그룹의 철강계열사(MUSCO) 사장으로 있을 때다. 당시 경영효율을 강조하던 그는 칸디발리 지역의 공장 직원들에게 “생산성을 높여야만 ‘디왈리(인도 최대의 전통축제)’ 보너스를 지급하겠다”는 방침을 통보했다. 관습처럼 내려온 디왈리 보너스의 조건부 지급 방침에 성난 근로자들은 그를 폭행하고 4시간 가까이 사무실에 감금했다. 마힌드라의 부인까지 위협을 가하는 상황에도 꿋꿋이 버티던 그의 고집에 공장 직원들은 손을 들었다. 마힌드라 회장은 “깊은 수렁 밑바닥을 똑바로 내려다보면 일종의 자신감을 갖게 된다”며 아찔했던 순간을 회고했다.

공격적 영토 확장…M&A도 적극 활용

마힌드라그룹은 아난드 마힌드라의 조부인 K.C 마힌드라가 펀잡주(州) 루디아나 지역에서 1945년 설립한 철강회사가 모태다. 이 회사는 1947 년 최초의 지프 모델이던 미국의 윌리스 지프(Willys Jeep)를 조립생산하며 자동차 업계에 발을 내딛기 시작했다. 아난드 마힌드라가 그룹에 합류한 건 1982년부터다. 영화전공을 마치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MBA)를 마친 뒤였다. 당시 그룹은 삼촌인 켄슈브 마힌드라가 경영을 맡고 있었다.

첫 근무지는 MUSCO의 재무담당 이사의 비서직. 1989년엔 이 회사의 사장 겸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아난드 마힌드라는 입사 이후 그룹의 외형 확장에 깊숙이 관여했다. 이 무렵 그는 부동산개발과 관광서비스 분야로 업종을 넓혔다. 1991년 그는 자동차와 농기구를 생산하는 계열사 마힌드라 & 마힌드라 부사장으로 옮겼다. 1997년 대표 이사로 올라선 뒤 2012년 8월부터는 그룹 회장으로 추대됐다. 마힌드라그룹은 현재 시가총액 162억달러, 연 매출 167억달러 규모의 인도 10대 기업에 속한다. 스콜피오(scorpio) 브랜드로 유명한 SUV를 비롯해 이륜차, 삼륜차, 상용차, 트랙터, 모터보트, 항공기 등이 주력 업종이다. 금융, 보험, 정보통신 사업군도 갖추고 있다.

그는 특히 인수합병(M&A)에 공격적으로 나섰다. 쌍용차를 비롯해 미국의 REVA 전기자동차, 네덜란드의 사티암 컴퓨터 서비스, 호주의 에어로스테프 및 깁슬랜드 항공사 등이 그의 작품이다. 마힌드라 회장은 여세를 몰아 방위산업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BBC에 따르면 마힌드라그룹은 2021년까지 1000억달러(약 102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세계 국방시장의 20%를 차지하겠다는 구상을 세우고 있다.

마힌드라그룹의 몸집이 커지면서 그는 각 사업부문의 대표에게 모든 전권을 과감히 위임하는 경영전략을 구사했다. 그는 “임원들이라면 누구라도 기업가처럼 활약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아무런 간섭 없이 독자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되 ‘워룸(war room)’에서 월별 평가를 통해 목표를 점검한다.

“인문학이 미래 경영에 필수적”

마힌드라 회장이 경영 수완뿐 아니라 대중으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겸손하고 소통할 줄 아는 CEO라는 점이다. 영화학도 출신답게 영화는 물론 독서, 블루스 음악 등을 즐기는 그는 재벌가 출신이지만 자수성가형 기업인 못지않은 성찰과 사유의 깊이를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0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나는 마힌드라 가족의 3세대 경영인이다. 그것은 사실 모든 것을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되는 세대를 뜻한다. 그래서 솔직히 아직 내 일을 갖고 있다는 것이 기쁘다. 그 자체가 3세대 기업인으로서는 영광된 일이다. 사람들은 내가 이루어낸 것들이 은수저를 갖고 태어난 덕분이라고 짐작하지만, 나는 항상 인생의 굴곡을 거쳐왔다."

고객을 기업철학의 최우선 순위로 생각하는 그는 대중과 직접 소통하는 것도 즐긴다. 트위터에서 ‘@anandmahindra’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그는 하루 두 번 정도 올리는 글을 통해 회사 홍보는 물론 시사적인 일, 인생에 대한 견해 등도 자주 표현한다. 지난해 6월26일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위독하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는 “연령과 건강상태를 볼 때 어느 순간 그의 죽음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일이 일어날까 두렵다. 세계엔 비통할 정도로 진정한 슈퍼 영웅이 부족하다”는 글을 띄웠다. 이 같은 통찰력이야말로 마힌드라가 80만명의 팔로어를 갖고 있는 파워 트위터리안이 된 배경이다.

평소 그의 발언과 생활에서 묻어나듯, 마힌드라는 인문학이 삶과 문화는 물론 경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의 기본이어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미래의 경영인을 육성하는 데도 인문학이야말로 필수적인 소양이라는 것. 하버드 인문학센터에 1000만달러를 기부한 까닭이다. 인도의 7만여 가난한 가정의 학생들에게는 무상교육을 후원하고 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