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중단될 경우 1조원이 넘는 자본금을 날린다는 실제 분석 보고서가 등장했다. ‘드림허브PFV 청산가치’라는 이 보고서는 용산 프로젝트 시행사 드림허브의 최대 주주인 코레일의 주도로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과 주도권을 놓고 다투고 있는 코레일이 사업 청산까지 염두에 둔 사전 작업에 착수한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고 있다.

3일 ‘드림허브PFV 청산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연내 용산 사업이 중단되고 드림허브가 청산될 경우 그동안 투입된 4조400억원 가운데 회수할 수 있는 돈은 2조9200억원 정도의 토지(용산역 일대 코레일 소유의 토지)대금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조1200억원이 허공으로 날라가는 셈이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을 비롯한 29개 출자사 대부분이 사업 중단에 따른 막대한 손실을 입는 것으로 분석했다. 최대 주주인 코레일은 총 7000여억원의 투자금 중 회수가능 금액이 1600억여원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자금 1510억원과 지난해 전환사채(CB) 발행으로 250억여원 등 총 1700억여원을 투자한 2대 주주 롯데관광개발도 회사 자본금(55억원)의 수십 배에 달하는 손실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코레일이 이처럼 구체적인 매몰비용 검토에 나선 것을 두고 건설업계에서는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에 대해 사실상 포기 수순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다. 코레일은 이달 중순 열릴 드림허브 이사회에서 운용회사인 용산역세권개발㈜의 옛 삼성물산 지분(45.1%)을 갖고 있는 롯데관광개발이 코레일에게 이를 양도하지 않을 경우 사업을 포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