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한 지 35년이 넘은 미국 뉴욕 오르페우스 체임버오케스트라에는 지휘자가 없다. 그렇지만 유명 음반사와 70회 이상 녹음했고, 세계적인 작곡가, 연주자들과 협연도 많이 했다. 카네기홀에서 해마다 정기 공연을 열고 있으며, 해외 순회공연도 한다. 그래미상 등 상도 많이 받았다.

오르페우스 체임버오케스트라는 클래식 음악의 중요한 성공 요소인 저명한 지휘자 없이 어떻게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었을까. 미 경영월간지 패스트 컴퍼니의 공동설립자 윌리엄 테일러가 쓴 《보스 프리》의 설명을 들어 보자.

오르페우스 단원들은 누군가가 작품을 해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제시해줄 것을 기대하지 않았다. 모든 단원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동료들과 협의를 통해 결정했다. 오케스트라의 에너지를 가로막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모든 것이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됐다. 다른 오케스트라에서는 지휘자가 단 한 개의 음표도 연주하지 않지만 모든 찬사는 그에게 돌아간다. 그래서 연주자들이 좌절감에 빠질 수도 있다. 하지만 오르페우스의 연주자들은 연주할 때마다 의사소통과 혁신, 책임감을 갖기 위해 노력하며 모두가 지휘자가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많은 기업이 오르페우스 체임버오케스트라와 달리 ‘보스의 수렁’에 빠져 있다고 진단한다. 애플, 버진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과 같이 혁신에 성공한 기업들에는 압도적인 천재와 같은 보스가 있었다. 탁월한 보스에 관한 신화가 비즈니스의 이정표처럼 여겨졌고 많은 리더가 이들의 리더십을 좇았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는 외로운 천재의 신비스러운 통찰력이 세계를 변화시킨다는 환상에 빠져 있다”며 “돌파구를 만들어내고 혁신을 이룩하는 것은 ‘집단 지성’”이라고 말한다. 창의성은 협력할 때 더 빠르게 전파된다는 것이다.

인터넷 기반으로 비디오를 대여하는 넷플릭스는 집단 지성으로 성공을 거둔 좋은 사례다. 넷플릭스는 고객들이 본 영화를 분석해 앞으로 보고 싶은 영화를 추천해주는 ‘시네매치’라는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외부 인력을 활용했다. 48만명의 고객이 작성한 1만8000여편의 영화에 대한 1억개의 영화평이 담긴 데이터베이스를 개방했다. 그리고 시네매치 추천 영화를 고객이 좋아할 확률을 10% 이상 높이는 알고리즘 개발에 100만달러의 상금을 걸었다.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이 매달렸고, 결국 1082일 만에 우승자가 나왔다. 성공의 과실은 넷플릭스가 가져갔다.

또 저자는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는 극단적 선택을 하는 기업이 성공한다”고 주장한다. 인터넷 쇼핑몰 자포스는 무료배송, 반품 정책으로 레드오션 속에서 성공했다. 고객이 사고 싶어하는 상품을 모두 주문한 다음 맘에 드는 것만 갖고 나머지는 반품할 수 있게 하면서다. 움프쿠아은행은 지점을 화랑이나 커피숍처럼 꾸몄다. 은행에서 북클럽, 영화의 밤 등 여러 종류의 모임이 열렸다. 본사에서는 주민을 위한 볼링시합도 개최했다. 여느 은행과 달리 글로벌 금융위기를 무사히 넘긴 비결이 거기에 있다.

저자는 “아이디어가 극단적이어서 기존 기업들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성공 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경쟁자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아이디어가 자신의 조직을 빛나게 할 진짜 아이디어라는 얘기다.

최종석 기자 ellisic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