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쇼크 탈출하기
부동산과 주식 등 재테크 시장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삼성전자가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코스피지수가 2000포인트 위에서 안착하는 분위기다. 반면 부동산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뉴타운 해제와 한강변 초고층 제한, 개포지구 소형 평형 확대 요구 등으로 침체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꼴이다.

부동산 시장의 ‘박원순 쇼크’로 가장 충격을 받은 곳은 강남의 개포지구 주민들이다. “서울광장 앞에서 데모하겠다”며 연합전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뉴타운은 전체 지역의 절반 이상이 지지부진한 데다 주민 여론도 찬반으로 갈려 있었다. 때문에 충격의 강도가 개포보다는 상대적으로 덜하다.

이런 상황에서 개포지구와 반포 등 한강변 재건축 추진 단지에 기대를 걸었던 투자자와 주민들은 박 시장에게 “자기는 60평형대에 세를 살면서 왜 우리는 20평형대에 살라고 하냐”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붓고 있다.

서울시가 최소한 20~30년 이상 길게 보고 재건축·재개발 정책을 짜는 게 아니라 정권이 바뀌거나 시장이 교체될 때마다 조령모개식으로 뒤엎는 바람에 시민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문제점이 있으면 정책을 수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불과 몇 년 만에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와 정책을 바꾼다면 신뢰를 잃는다. 전문가들은 “방향이 옳든 그르든 제발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펴 달라”고 주문한다.

재개발 투자가 워낙 분쟁과 잡음이 심한 데다 정책이 급변해 트렌드를 빨리 읽는 투자자들은 상가와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으로 방향을 일찍 틀었다.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의 곽명휘 부동산팀장은 “부동산 투자 고수들은 재개발과 재건축 시장은 쳐다보지 않는다”며 “강남과 강북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30억~200억원씩 투자해 상가를 사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요즘 상가나 오피스빌딩 투자로 각광받는 물건은 법인이 재무개선용으로 내놓은 건물이다. 회사 입장에서는 건물을 판 뒤 5년 정도 재임대(Sale & Lease back) 형태로 계약을 맺는 방식이다. 개인 투자자는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매도·매입자 간에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거래다.

부동산 정책 변화를 빨리 읽고 대체 투자처를 찾는 것도 생각해보자.

정구학 편집국 부국장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