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순매수 지속…`8월 위기'에도 금리 하락

한국 국채가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아 외국인의 순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증권업계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한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7월 말 4.20%에서 이달 16일 3.79%로 41bp(1bp=0.01%) 하락했다.

미국(79bp), 인도네시아(74bp), 호주(73bp), 독일(72bp), 영국(70bp), 캐나다(69bp), 중국(47bp) 등에 이어 G20 국가중 8번째로 금리 하락폭이 컸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과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로 전 세계 주식시장이 폭락한 8월 이후 금리가 떨어졌다는 것은 국채가 안전도를 높게 평가받아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와 호주는 기준금리를 내린 영향이 컸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25bp 내린 데 이어 이달 10일에는 추가로 50bp를 더 인하했다.

호주 중앙은행(RBA)도 지난 1일 기준금리를 연 4.75%로 25bp 낮췄다.

중국 국채 금리의 하락 이유도 외국인 유동성과는 거리가 있다.

중국 채권과 주식시장은 국외 개방이 제한돼 외국인 투자자가 금리나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채금리 하락폭의 순위는 실제로는 5위에 해당한다.

LG경제연구원 최문박 연구원은 "외국인 자금이 지속적으로 순유입되는 한국 국채는 안전자산의 모습을 띠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중국 등 다른 신흥 국가는 기준금리 인하나 내부 요인들로 국채 금리가 하락한 것이어서 안전자산으로 부각됐다고 평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G20 국가 중 상당수 국가는 국채 금리가 올랐다.

위기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같은 기간 114bp 폭등했다.

프랑스 국채 금리는 49bp 올랐다.

인도(44bp)와 터키(23bp), 유럽연합(EU) 의장국인 폴란드(3bp) 금리도 상승했다.

10년물 국채를 발행하지 않거나 거래가 거의 없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러시아, 브라질은 이번 금리 비교 대상에서 제외했다.

G20 국가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국채 금리 차이는 더욱 커졌다.

G20 국가 중 16곳의 국채 금리 평균은 4.80%로 작년 말보다 29bp, 7월 말 대비로는 21bp 하락했다.

그러나 유로존 17개 국가 중 수치가 있는 12곳의 평균은 7.07%다.

같은 기간보다 각각 185bp, 103bp 폭등했다.

유로존 국가 중 7월 말 이후 금리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에 노출됐던 그리스(1천382bp)였다.

이어 이탈리아(114bp), 오스트리아(50bp), 벨기에(49bp), 프랑스(49bp), 포르투갈(44bp) 등 순으로 많이 올랐다.

한국채권투자자문 김형호 대표는 "국채 금리 수준으로만 평가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포르투갈은 이미 위험하다.

벨기에와 프랑스, 오스트리아는 남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많아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 분류된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창헌 이유미 기자 chhan@yna.co.krgatsb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