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설계된 에너지 절감형 아파트가 잇따라 분양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에너지 절감 의무비율을 맞춰가는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 차별화된 에너지절감 기술을 적용한 아파트가 분양률에도 점차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대림산업이 지난달 분양한 '광교 e편한세상'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평균 청약경쟁률 10.42 대 1에 계약률 90%를 기록한 배경에는 빼어난 입지 덕도 있지만 냉난방에너지 50% 절감기술 적용 효과도 컸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에너지 절감형 아파트의 매력은 입주 이후 실제로 살아보면 피부로 느낄 것"이라며 "향후 에너지 절감수준이 아파트 청약의 주요 잣대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별화된 기술 적용된 아파트 공급 잇따라

대우건설은 오는 9일부터 청약을 받는 주상복합아파트인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에 에너지절감 시스템을 대거 적용한다. 주상복합 아파트 거주 시 부담으로 꼽혀온 비싼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지역난방 태양광발전시스템 LED조명 전열교환장치 우수정화시스템 에너지 모니터링 등을 도입해 다른 주상복합 단지보다 약 30~40% 정도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대우건설은 설명했다.

SK건설은 이달 중순 분양할 '수원 SK 스카이 뷰'에 22가지의 그린 기술을 적용한다. 22㎜ 고효율 복층 이중창호와 단열재,대기전력차단 스위치 등을 채택해 기존 아파트와 비교해 35.8%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설계됐다. 현대건설은 이달 분양할 '반포힐스테이트'에 태양광발전을 적용,공동관리비는 물론 가구별 전기료를 줄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소형풍력발전은 단지 내 가로조명이나 수목조명 등에 활용되며 단지 내 놀이시설에도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각종 놀이기구가 조성될 계획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분양한 경기 수원 권선동 아이파크시티 2차에 30% 이상의 에너지 절감 기술을 적용한 데 이어 올해는 에너지 50% 절감형 기술을 채택할 예정이다. 외피시스템 외단열공법 옥상 및 벽면녹화시스템 등이 대표적인 적용기술이다.

한화건설은 분양 중인 용인 보정역 한화꿈에그린 단지 설계에서 친환경 주택성능평가 인증을 받아 기존 아파트 대비 15%이상 에너지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우수저류조를 설치해 빗물을 조경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에너지 절감률 기준은 뭔가.

정부는 아파트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량을 줄일 목적으로 2008년에 표준주택 기준을 마련했다. 건축자재의 성능 및 규격까지 강제한 기준이다. 이 기준에 맞춰 지은 아파트는 ㎡당 연간 20리터의 등유를 태워서 나오는 에너지량을 소비하는 것으로 정부는 추정하고 있다.

1리터의 등유나 1㎥의 가스를 태워서 생산되는 전력량은 10?i이기 때문에 전용면적 100㎡인 아파트의 경우 표준주택 기준 총에너지소비량은 연간 20MWh(20리터X10?iX100㎡)다. 정부가 제시하는 에너지 절감률은 표준주택의 총에너지소비량 보다 얼마나 줄이냐를 비율로 표현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정부는 지난해 표준주택보다 에너지 소비량을 더 줄이는 그린홈 건설기준을 내놓았다. 전용면적 60㎡를 초과하는 주택은 주택사업계획 승인을 받을 때 총에너지사용량을 표준주택 대비 15% 이상 절감해서 설계하도록 규정했다. 전용면적 100㎡인 아파트라면 단위 세대당 총에너지소비량이 17MWh를 넘지 말라는 의미다.

에너지 절감률 기준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내달부터 민간 공동주택의 에너지 의무절감비율을 주택형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20%로 상향 조정할 방침으로 알려져 있다. 또 공공주택에 대한 에너지 의무절감비율 목표를 2012년 25%,2015년 40%,2018년 70%,2025년 100%(제로에너지 하우스)로 잡고 있다.



◆분양가 인상요인은 없나

정부는 지난해 10월 그린홈 건설기준을 제정하면서 "건축비 증가분을 분양가에서 실비로 인정한다"고 명시해 그린홈이 향후 분양가 산정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업계는 현재의 그린홈 건설기준이라면 추가 공사비용을 분양가에 포함하더라도 소비자의 가격 저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절감 40% 아파트를 지을 때부터는 상황이 달라질 전망이다. 국토부 산하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연구단'에 따르면 에너지 절감 40% 아파트를 건설하려면 공사비는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에너지 절감 60%인 경우 공사비 증가분은 15%이고 에너지 절감 80% 아파트 건설에는 20%의 추가 공사비가 예상됐다.

공사비 10%가 증가할 경우 6억원인 아파트의 분양가가 6억6000만원으로 뛴다는 의미는 아니다. 크게 토지비와 건축비로 구성되는 분양가에서 건축비만 10% 늘어나기 때문이다. 예컨대 표준주택의 건축비가 3.3㎡당 300만원이었다면 에너지 절감 40%인 그린홈의 경우 330만원이 된다. 전용면적 100㎡인 아파트라면 건축비가 산술적으로 9090만원에서 9999만원으로 1000만원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다. 분양가 인상은 주택업체나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스럽게 마련이다. 업계는 "분양가가 계속 오른다고 하면 아파트가 팔릴지 걱정"이라며 정부를 쳐다보고 있다.

김호영 한경닷컴 기자 en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