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작년 금융권의 정기신용등급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던 남양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주택건설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금융권이 건설업계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시사한 가운데 A등급 건설사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할 정도로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줄도산’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일 광주지법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남양건설은 작년 시공능력평가에서 35위에 오른 중견 건설사로 지난해 1월 채권은행단이 실시한 건설사 신용등급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이처럼 건실한 지방 건설사로 평가받아온 남양건설이 불과 1년 만에 법정관리 신세가 된 데에는 충남 천안 두정동 아파트 사업 차질의 영향이 결정적이었다는 평가다.2007년부터 추진돼온 두정동 아파트 사업은 천안1지방산업단지 부지에 2035가구 규모의 대규모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최근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여의치 않아 자금난을 가중시켰다.

당초 지난해 12월로 예정됐던 분양도 계속 미뤄지면서 매달 30억원에 이르는 금융비용이 발생했고 지난달에는 직원 급여도 아직 지급하지 못하는 등 자금 사정이 급격히 악화해 결국 법정관리 신청에 이르게 됐다고 채권은행인 광주은행은 설명했다.

B등급 중견업체 성원건설에 이어 A등급인 남양건설마저유동성 위기를 넘기지 못하고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건설업계에서는 금융위기 여파로건설사들이 줄줄이 무너졌던 2008년 말의 ‘줄도산’사태가 다시 현실화될 가능성 우려하고 있다.

이미 건설사들의 자금난은 위험수위에 달해 있다. 건설ㆍ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미분양이 많거나 PF대출보증이 큰 업체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유동성 위기를 겪지 않은 업체가 드물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실제로 워크아웃 중인 한 중견 건설사는 자금난으로 작년 연말부터 석 달가량 직원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적이 있고 협력업체 공사대금도 밀렸다.또 다른 중견업체는 최근 어음 만기일을 연장하는 등 자금난을 겪다 모기업의 지원으로 간신히 부도위기를 넘겼다는 후문이다.

이 밖에도 4~5월 중 건설사에 대한 정기 신용등급평가가 시작되면 건설사들이 무더기로 퇴출당할 것이라는 소문이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이처럼 부도설의 타깃이 된 업체는 대부분 신용평가 B등급에 도급순위 100위권 안의 중견기업이 대부분이다.대기업들은 해외수주나 공공 공사 등으로 주택부분의 손실을 메울 수 있지만, 주택사업에 치중해 있고 공공 공사나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의 ‘저가 경쟁’을 감당할 여력이 없는 중견 건설사들은 유동성 위기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이 같은 상황에서 은행권이 올해 건설사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더 엄격하게 하는 등 부실업체 구조조정에 고삐를 죌 방침이어서 중견 건설사들의 설 자리는 더 좁아질 전망이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