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 첫 선 보인 아르데코 양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림산업 주택문화관 201㎡ 유닛에선 ‘아르데코’ 양식을 만날 수 있다.
아르데코는 아프 데코라티프(art decoratif)의 줄임말로 1925년 파리 장식예술 박람회의 약칭에서 유래됐다. 곡선을 즐겨 쓰던 '아루누보'(art nouveau)와는 대조적으로 기본형태의 반복, 동심원, 지그재그 등 기하학적인 취향이 두드러지는 양식이다.
거실에 아르데코 양식이 크게 반영됐다. 천정에 조명을 없애고 기하학적인 문양을 넣었다. 천정과 조화를 이뤄 바닥에도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처리했다.
소파 맞은 편 벽에는 TV를 두지 않고 넓은 서가를 뒀다. 검은 색상의 서가는 흰색 벽과 대조를 이루면서 품격이 느껴진다.
소파 뒤쪽의 벽면은 강한 푸른빛이다. 넓은 소파 뒤로 조경공간을 조망할 수 있는 낮은 창을 냈고 오른쪽 위로 금장 액자와 함께 천정 몰딩은 클래식한 분위기다.
부부 침실 한가운데에 패브릭 마감의 금속 패널을 설치해 침실과 파우더 공간으로 나눴다. 침대 헤드보드 겸 파티션 개념의 패널 뒤쪽에 파우더 공간이 있다.
푸른색 문으로 처리된 긴 붙박이장은 남편과 아내용으로 나눠져 있다. 파우더 공간 뒤쪽이 아내용 붙박이장이다. 일반적으로 아내의 파우더 공간 사용빈도가 높은 점을 감안해서다.
201㎡ 유닛 현관의 벤치는 더 화려하고 높다. 앉아서 신발을 편하게 신고 벗는 기능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미적 기능도 살려 설계했다고 한다.
한경닷컴 김호영 기자 enter@hankyung.com
아르데코는 아프 데코라티프(art decoratif)의 줄임말로 1925년 파리 장식예술 박람회의 약칭에서 유래됐다. 곡선을 즐겨 쓰던 '아루누보'(art nouveau)와는 대조적으로 기본형태의 반복, 동심원, 지그재그 등 기하학적인 취향이 두드러지는 양식이다.
거실에 아르데코 양식이 크게 반영됐다. 천정에 조명을 없애고 기하학적인 문양을 넣었다. 천정과 조화를 이뤄 바닥에도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처리했다.
ADVERTISEMENT
소파 뒤쪽의 벽면은 강한 푸른빛이다. 넓은 소파 뒤로 조경공간을 조망할 수 있는 낮은 창을 냈고 오른쪽 위로 금장 액자와 함께 천정 몰딩은 클래식한 분위기다.
부부 침실 한가운데에 패브릭 마감의 금속 패널을 설치해 침실과 파우더 공간으로 나눴다. 침대 헤드보드 겸 파티션 개념의 패널 뒤쪽에 파우더 공간이 있다.
푸른색 문으로 처리된 긴 붙박이장은 남편과 아내용으로 나눠져 있다. 파우더 공간 뒤쪽이 아내용 붙박이장이다. 일반적으로 아내의 파우더 공간 사용빈도가 높은 점을 감안해서다.
201㎡ 유닛 현관의 벤치는 더 화려하고 높다. 앉아서 신발을 편하게 신고 벗는 기능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미적 기능도 살려 설계했다고 한다.
한경닷컴 김호영 기자 enter@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