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을 넘어 임금삭감을 통해 일자리를 지키려는 노력이 산업계 전반에 본격적으로 퍼져나가는 분위기다. 특히 신입사원의 초임깎기에 이어 기존 임직원의 임금을 전체적으로 삭감하자는 움직임이 공기업과 일부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확산(擴散)될 기미여서 주목된다.

노사관계 등을 감안할 때 기존의 직장인 임금을 전반적으로 깎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위축된 소비 활성화 문제까지 감안하면 임금삭감이 반드시 최선의 방법이냐는 지적에도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에서는 무엇보다 우선될 가치는 기본적인 일자리 유지다. 위기국면에서 이것보다 확실한 사회안전망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전경련 주도로 30대 그룹이 대졸 신입사원 초임을 최대 28%까지 깎는 대신 신입사원 채용을 늘리기로 한 것도 일자리 나누기나 지키기가 지금 당장으로선 가장 절실하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임이 분명하다. 이점에서는 실물경제를 이끄는 재계의 판단과 정책을 주도하는 정부의 인식이 맞아떨어진 것은 다행이다.

문제는 신입사원들 임금만 손대고 여기에 일부 대기업의 경영진들이 마치 성의를 표시하듯 연봉을 자진 삭감하는 것만으로 과연 전체 경제를 살리는데 충분한 효과가 나겠느냐는 점과 그 부작용이다. 국내 임금이 국제 비교와 최근 경제환경에서 생산성을 감안할 때 높은 편이 아니냐는 지적이 없지 않고,장기간 미해결 숙제로 남아있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까지 두루 연결해볼 때 전체적인 임금수준의 재조정없이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게 해서 위기에서 빨리 벗어나고 생산성도 높아지면 임금은 얼마든지 다시 올릴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공기업들 직원과 간부들의 임금삭감 추진은 지금의 위기상황에서 불가피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미 수출입은행과 주택금융공사에서 이런 입장을 밝힌 바 있지만 당장 이달중 시작될 은행들의 임금 단체협상에서도 이런 점은 감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공기업 등에서 표면상으로는 임금을 깎고 실질적으로는 수당과 격려금을 지급하는 식의 편법(便法)이나 형식 갖추기에 그치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