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줄지만 상한제 물량은 늘어…예비청약자에 유리할까 불리할까
다음 달부터 신규 분양 아파트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분양 비수기에 접어드는 데다 분양가 상한제를 피했던 물량들이 대부분 시장에서 소화됐기 때문이다.

주택공급물량이 줄면 수요자들의 선택 폭은 좁아질 수 밖에 없다.하지만 다음 달에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아파트가 전체 공급량의 절반을 넘어 실수요자에겐 오히려 유리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15일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에선 45개 아파트 단지,총 2만3804가구(주상복합, 타운하우스, 임대아파트 포함)가 신규 공급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공급된 2만7471가구에 비해 13.3% 감소한 것이다.

올해 초만 해도 신규 분양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한 물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크게 늘어났다.

지난 1월엔 2만7392가구가 공급돼 작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다.

2월에는 672%,3월 168% 등으로 급증했다.

이어 4월에 12.5% 증가로 주춤하다 5월 들어 처음으로 3.6% 감소를 보였다.

신규 분양 주택이 감소세에 접어든 것은 분양가 상한제를 회피한 물량이 그만큼 많이 소화됐기 때문이다.

김규정 부동산114 팀장은 "상한제를 피한 아파트들이 작년 12월과 올 1분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됐다"며 "다음 달에도 전체 물량의 40% 정도가 상한제 미적용 아파트이지만 점차 그 비중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상한제가 적용되는 아파트는 다음 달 1만4396가구로 집계돼 6월 전체 분양예정 물량의 60.5%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공급자측면에선 건설사들이 미분양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하고 분양가 상한제가 주택사업을 활발히 하기 어려운 원가구조여서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센터장은 "상한제 적용 아파트가 민간택지에서도 나올 정도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얘기했다.

이어 "중.소형 아파트에만 청약이 몰리고 있어 건설사들이 중.대형 예정 물량을 중.소형으로 구조조정하는 과정에서 분양이 조금씩 뒤로 밀리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수요자 입장에선 6월 분양예정 물량이 상한제와 비상한제 아파트가 비슷한 비중으로 섞여 나오는 만큼 자신이 저렴한 분양가를 원하는지,아니면 환금성을 더 중시할 것인지 마음을 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상한제 물량에는 최장 10년의 전매제한 조건이 붙기 때문이다.

장기 거주가 가능한 실수요자는 상한제 적용 아파트를,단기적인 환금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비상한제 아파트를 고르는 게 낫다.

상한제가 적용되더라도 민간택지의 경우 주변 아파트 시세보다 얼마나 쌀지는 케이스마다 다르기 때문에 꼼꼼히 비교해 봐야 한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선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는 역세권 단지들이 많다.

마포구 신공덕동의 마포주상복합,합정동의 합정자이,성동구 송정동 아이파크,용산구 효창동 효창파크 푸르지오가 선보인다.

인천에선 청라지구의 3600여가구가 상한제 적용으로 인근 시세보다 20~30% 싸게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에선 대전 서남부지구와 충남 청수지구,충남 배방지구,광주 수완지구 등 택지개발지구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