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에 전국적으로 9만가구를 훨씬 넘는 아파트 분양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조사돼 내집마련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실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 전망이다.

특히 주택공급난이 심한 서울과 파주 운정신도시,용인 흥덕지구 등 수도권 유망 택지지구의 분양이 잇따를 예정이어서 청약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공급물량이 워낙 많은데다 유망지구가 다수 포함돼 청약이 여러 곳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커 청약가점이 낮은 실수요자들도 적극적으로 청약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서울

우선 서울에서는 은평뉴타운이 최대 관심단지로 꼽힌다.

SH공사가 은평뉴타운 1지구에서 총 3477가구 중 조합원분을 뺀 1643가구를 후분양 방식으로 일반에 분양한다.

아직 주택규모별 분양물량은 정해지지 않았다.

현재 공정률이 80%에 달해 입주는 내년 4~5월이면 가능하다.

분양가는 3.3㎡당 1100만~1500만원 선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청약저축 가입자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에 청약할 수 있고 서울 기준 600만원 이상의 청약예금 가입자는 전용 101㎡ 이상 대형주택에 신청할 수 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피해 입주 등기 후 전매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청약가점 55점 이상이 당첨 안정권 점수가 될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강북지역 뉴타운 주변에서 대형 건설사가 공급하는 재개발 단지도 주목된다.

이들 단지는 전용 85㎡ 이하 소형 평형이 상대적으로 많아 청약부금 가입자들이 노릴 만하다.

삼성물산은 동대문구 용두동 용두1구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용두1래미안'을 선보인다.

총 1054가구에 이르는 대단지로 조합원분을 제외한 79~148㎡(24∼43평)형 284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대우건설은 성북구 장위뉴타운 인근인 하월곡동 월곡1구역에서 714가구 중 79~135㎡(24~41평)형 57가구를 일반에 공급한다.

두산건설은 길음뉴타운 7구역을 재개발해 548가구 중 85~145㎡(26~44평)형 123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현대건설은 은평뉴타운에 인접한 불광동 불광3구역에서 '불광동 힐스테이트'를 공급한다.

총 1185가구 중 148∼165㎡(44∼50평)형 41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수도권

남부지역에선 광교신도시 및 수원영통지구와 인접한 용인 흥덕지구를 우선적으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호반건설과 한국종합건설이 이곳에서 각각 236가구,474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특히 분양가가 최근 용인에서 분양된 아파트 분양가에 크게 못 미치는 3.3㎡당 1000만~1100만원 안팎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될 전망이어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북부권에서는 운정신도시에서 대한주택공사가 청약저축 가입자를 대상으로 1062가구를 공급하는 것을 시작으로 주택 분양이 본격화된다.

삼부토건(2114가구),벽산·한라건설(1145가구),동문건설(624가구) 등 민간업체들이 주공에 이어 4855가구를 공급한다.

중·소형 분양가는 3.3㎡당 900만원 중반대로 예상된다.

당첨권은 청약가점 45점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도 주목된다.

대림산업은 경기 오산시 양산동에서 1646가구(101~207㎡)를 선보인다.

이 단지는 행정구역상 오산시에 속하지만 1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화성 동탄신도시에 인접해 있어 사실상 동탄생활권에 포함돼있는 것이 매력적이다.

예상 분양가도 3.3㎡당 900만원 안팎으로 동탄1신도시의 현재 시세(3.3㎡당 1400만원 선)에 비해 크게 낮다.

동양건설산업은 남양주시 호평동에서 1290가구(83~274㎡)를 공급한다.

호평지구와 인접해있으며 46번 국도를 통해 서울로 이동할 수 있다.

◆지방

지방에서는 울산 분양물량이 1만447가구로 가장 많다.

현대건설은 북구 양정동에서 317가구,대림산업은 중구 유곡동에서 651가구,한화건설은 남구 삼산동에서 716가구를 각각 분양한다.

아산 천안 청주 등 충청권에서는 울산 다음으로 많은 9777가구가 공급된다.

부산에선 4907가구,대구는 2569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최근 정부가 지방 주택시장과 중견업체를 살리기 위해 충청권을 중심으로 일부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를 해제했지만 예정된 공급물량이 워낙 많아 미분양 우려는 여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