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천안.아산 주민 "행정도시 후광 없다"
대구, 부산 제외된 곳 '동별 해제' 요구도


정부가 다음 달 2일부터 부산, 대구, 광주 등지의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해제해주기로 한 가운데 충청권 등 이번 해제 대상에서 탈락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 지역 주민은 미분양이 쌓이고 투기과열지구 지정 요건에서도 벗어나는데 이번 해제 대상에서 빠진 이유가 뭐냐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특히 충청권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충청권은 지금도 타 지방의 경우 계약후 1년이면 전매가 허용됐는데 이 곳만은 입주때까지 금지돼 있다.

앞으로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돼도 지방 비투기과열지구 민간택지 아파트는 전매 제한 기간이 계약후 6개월, 다른 투기과열지구는 1년이지만 충청권만 유독 입주때까지다.

29일 대전시에 사는 주민 조모씨는 "충청권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후광효과 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해제지역에서 제외됐다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판단"이라며 "충청권의 청약률, 아파트값 상승률은 타지역과 비교해 최악의 상황이고 미분양이 넘쳐나고 있는데 왜 안풀어주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대전시와 충청남.북도 등 3개 시.도는 28일 오후 공동발표문을 내고 "충청지역 경기를 이끌어가는 건설업은 이미 고사 상태에 있다"며 "정부의 주택정책이 투기는 잡지 않고 왜 지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지 모르겠다"며 해제를 촉구했다.

이들 시.도의 조사에 따르면 5월말 기준 대전지역 주택 청약률은 0.36대 1, 충남지역은 0.75대 1이며 미분양도 대전시가 2천200여가구, 충남지역은 1만여가구에 달한다.

천안, 아산지역에 분양을 했거나 준비중인 건설사들도 실망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D사는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면 주택 구매 심리가 살아나 미분양 해소에 도움이 될까 기대했는데 답답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천안.아산에 1만가구가 넘는 새 아파트 분양이 대기중인데 걱정이 태산"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해운대.수영구, 대구시 수성.동구 등 일부 투기과열지구에서 풀리지 않은 곳의 주민도 불만스럽긴 마찬가지다.

부산에 사는 주민 이모씨는 건설교통부 홈페이지에서 "같은 해운대구라도 우동, 중동, 좌동을 빼면 나머지 동은 붕괴되기 일보직전이고, 아파트 대출금 갚기가 힘들어 계약금과 대출이자를 포기하고 매물을 내놓아도 거래는 안되고 있다"며 "투기과열지구를 동 별로 지정 및 해제해달라"고 요구했다.

대구에 사는 이모씨도 "동구는 신서동 혁신도시 건립을 이유로 투기과열지구 해제가 안된 것 같은데 현재 살던 집이 안팔려 새 아파트 입주를 못하고, 새 아파트도 살 사람이 없어 이자부담으로 허리가 휠 지경"이라며 "투기과열지구에서 풀려나 경기가 살아나야 집이 팔릴 것 아니냐"며 하소연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대규모 지역개발 계획이 잡혀 집값 상승 또는 투기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 청약과열 사례가 있었거나 주거 선호지역은 이번 해제 대상에서 제외했다"며 "시장 불안 요인이 있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