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조 원의 토지 보상금이 풀릴 전국 신도시와 혁신도시 개발 예정 지역에서 증권사들이 보상금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해와 내년에 풀릴 것으로 예상되는 45조원 규모의 대규모 토지수용 보상금을 선점하기 위해 증권사들이 발벗고 나섰다.

우리투자증권은 전국 45개 지점,22개 지구에서 토지보상 영업을 하고 있다.

이미 광교·영종도·삼송·양촌지구 등에서 영업을 전개해 70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보상금이나 채권을 받은 후 어떻게 운용할지를 고민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금융 상담과 다양한 대체투자 상품을 소개해 주고 전문가들이 세무 상담도 해 준 결과이다.

삼성증권도 지역 사업본부와 프라이빗뱅커(PB)를 중심으로 현지 밀착형 영업 전략을 펼쳐 7000억원 정도를 끌어들였다.

또 동양종금증권은 지난해 영종도와 삼송 지역에 용지보상 지원센터를 개설해 3개월간 영업 활동을 전개,2000억원을 유치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금은 전국 신도시 및 혁신도시 개발 지역에서 지점 단위의 영업 활동을 펴고 있다.

대신증권은 토지보상 사업 절차 및 세금 상담을 위한 설명회를 열고 현지 영업점에 전문 상담 요원을 배치했다.

굿모닝신한증권의 경우 지주사의 강점을 살려 은행과 연합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사실 토지보상금 영업은 은행과 농협의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우리투자증권이 수원·광교 지구 보상전에 뛰어들어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이며 유치전에 불이 붙었다는 분석이다.

이에 자극받은 동양종금 대신 현대증권 등 중·대형 증권사들도 개발 지역에 임시 사무소를 설치하거나 전담팀을 배치하고 본격 경쟁에 뛰어들었다.

증권사들의 무기는 지주들이 거액의 보상금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재투자할 수 있도록 세테크 등의 맞춤 상담을 해 주는 것이다.

또 토지보상 채권이 증권사를 통해서만 매매 가능한 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보상금은 통상 원주민(개발지 반경 10km 이내 주민) 지주에게는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외지인 지주에게는 1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주택공사 토지공사 지방개발공사 등에서 발행한 채권으로 보상해 준다.

증권사들은 이들로부터 채권을 수집해 일정 비율로 할인한 뒤 현금화하는 과정을 대행해 준다.

통상 3년 만기인 채권을 즉시 현금화해 다른 땅을 사거나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셈이다.

증권사는 이 과정에서 20~30bp의 차익(스프레드)을 수수료 수입으로 얻고 있다.

동양종금증권 관계자는 "3분기에 2조5000억원 규모의 양주·옥정 신도시 보상이 예상되는 등 내년까지 3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보상금이 풀릴 예정이어서 지주들에게 안내문을 발송하고 방문 상담을 진행하는 등 증권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고 설명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