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아파트 시장 선점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목조 공동주택 시장을 잡아라.'
내년 건축법 개정을 앞두고 목조건축 업계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지금까지 없었던 목조주택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최대 5층까지의 저층 공동주택(연립·빌라·아파트) 건립도 허용되면서 목조주택 시장이 급격히 팽창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목조 공동주택 관련 규정의 경우 2년 전에 기존 13m에서 18m(처마까지 15m)로 완화돼 저층 아파트 신축 가능성은 열렸지만,내진설계 기준이 없어 실제 건축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하지만 목조주택업계는 내년 초 내진 기준이 정해지면 6000억원대의 목조주택 시장이 급팽창해 5년 뒤엔 지금의 2배로 늘어나고,2020년쯤에는 전체 주택의 25% 정도가 목조주택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목조아파트 기술력 확보 경쟁
한국목조건축협회 회원 36명은 지난달 22일부터 14일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다층 목조주택에 대한 기술연수를 실시했다.
지상 3층 이상 목조건물 신축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다.
수업의 절반은 이론 교육이고 나머지는 실제 건축현장을 찾아 노하우를 익히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300만원 정도의 비싼 경비에도 불구하고 교육생은 작년(18명)보다 2배 늘었다.
이처럼 한국목재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면서 목재 생산국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캐나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캐나다 우드' 협회는 작년에 한국 사무소를 열었다.
연간 수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가며 한국 목조건축 법규 마련 지원과 무역알선 등을 돕고 있다.
한국인 교육 프로그램을 책임지는 곳도 캐나다 우드다.
◆목조주택 장점 많아
목조 공동주택 시장 허용을 앞두고 관련 업계가 흥분하고 있는 까닭은 일단 법규만 정비되면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목조 주택의 경우 실내 유해물질이 적어 단독주택 시장에서 이미 입지를 굳혔다.
또 목조 건축은 수명이 50년 이상으로 길고 계절에 관계없이 석 달이면 준공이 가능하다.
심국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목조 건물은 불에 약하다는 인식이 많은데 막상 실험을 해 보면 불이 났을 때 철근보다 강한 것으로 연구됐다"고 말했다.
◆법규 정비 일정이 관건
업계는 작년 5000여가구 정도 공급됐던 목조건물이 향후 5년 내 1만가구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정부가 밝힌 대로 2020년쯤 고층과 저층 주택 간 비율이 50 대 50으로 이뤄진다면 저층 주택의 절반은 목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법규의 내용과 정비 일정이다.
내진설계 기준이 정해진다 해도 여러 가지 규제가 콘트리트 주택보다 상당히 까다롭다.
내화구조는 한국표준규격(KS) 기준에 의한 인정 과정을 거쳐야 하고,차음구조는 그나마 KS 규정도 없어 성능실험을 통해 한국건설기술원장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목조건축 설계 인력이 부족한 것도 걸림돌이다.
밴쿠버(캐나다)=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내년 건축법 개정을 앞두고 목조건축 업계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지금까지 없었던 목조주택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최대 5층까지의 저층 공동주택(연립·빌라·아파트) 건립도 허용되면서 목조주택 시장이 급격히 팽창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목조 공동주택 관련 규정의 경우 2년 전에 기존 13m에서 18m(처마까지 15m)로 완화돼 저층 아파트 신축 가능성은 열렸지만,내진설계 기준이 없어 실제 건축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하지만 목조주택업계는 내년 초 내진 기준이 정해지면 6000억원대의 목조주택 시장이 급팽창해 5년 뒤엔 지금의 2배로 늘어나고,2020년쯤에는 전체 주택의 25% 정도가 목조주택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목조아파트 기술력 확보 경쟁
한국목조건축협회 회원 36명은 지난달 22일부터 14일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다층 목조주택에 대한 기술연수를 실시했다.
지상 3층 이상 목조건물 신축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다.
수업의 절반은 이론 교육이고 나머지는 실제 건축현장을 찾아 노하우를 익히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300만원 정도의 비싼 경비에도 불구하고 교육생은 작년(18명)보다 2배 늘었다.
이처럼 한국목재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면서 목재 생산국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캐나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캐나다 우드' 협회는 작년에 한국 사무소를 열었다.
연간 수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가며 한국 목조건축 법규 마련 지원과 무역알선 등을 돕고 있다.
한국인 교육 프로그램을 책임지는 곳도 캐나다 우드다.
◆목조주택 장점 많아
목조 공동주택 시장 허용을 앞두고 관련 업계가 흥분하고 있는 까닭은 일단 법규만 정비되면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목조 주택의 경우 실내 유해물질이 적어 단독주택 시장에서 이미 입지를 굳혔다.
또 목조 건축은 수명이 50년 이상으로 길고 계절에 관계없이 석 달이면 준공이 가능하다.
심국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목조 건물은 불에 약하다는 인식이 많은데 막상 실험을 해 보면 불이 났을 때 철근보다 강한 것으로 연구됐다"고 말했다.
◆법규 정비 일정이 관건
업계는 작년 5000여가구 정도 공급됐던 목조건물이 향후 5년 내 1만가구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정부가 밝힌 대로 2020년쯤 고층과 저층 주택 간 비율이 50 대 50으로 이뤄진다면 저층 주택의 절반은 목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법규의 내용과 정비 일정이다.
내진설계 기준이 정해진다 해도 여러 가지 규제가 콘트리트 주택보다 상당히 까다롭다.
내화구조는 한국표준규격(KS) 기준에 의한 인정 과정을 거쳐야 하고,차음구조는 그나마 KS 규정도 없어 성능실험을 통해 한국건설기술원장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목조건축 설계 인력이 부족한 것도 걸림돌이다.
밴쿠버(캐나다)=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