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두 달 새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는 등 서울·수도권 지역의 미분양 해소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값 추가 상승에 대한 우려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기존 주택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미분양 시장에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같은 미분양 감소 추세는 마산 울산 등 개발호재와 분양권 전매가 자유로운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지방 분양시장 침체 해소에 돌파구가 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지난 8일 현재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4만5997가구로 지난달(4만6681가구)보다 1.46% 감소했다.

두 달 전인 10월에 비해선 7.8% 줄어든 것이다.

수도권 미분양 큰 폭 감소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 지역의 미분양 소진이 두드러진다.

지난 10월 4850가구에 달했던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는 11월에 3965가구로 4000가구 밑으로 떨어진 뒤 이달 들어 절반 수준인 2374가구로 내려앉았다.

인천광역시의 경우 지난달 498가구에서 이달엔 200가구로 물량이 60%가량 줄었다.

경기도 역시 2980가구에서 823가구,서울은 487가구에서 136가구로 각각 떨어졌다.

지방 미분양 시장도 탄력을 받고 있다.

충남은 미분양 아파트가 지난달(3897가구)보다 18% 감소한 3202가구로 집계돼 지방에서 가장 큰 감소세를 나타냈다.

부산도 한 달 새 미분양 아파트가 10% 감소한 5964가구로 조사됐다.

경북도 지난달 4033가구에서 3639가구로 10% 줄었다.

신규 분양보다 분양가 저렴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가격이 급등세를 나타낸 기존 주택이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분양가 논란이 불거진 신규 분양주택보다는 계약금 할인,이자 후불제 등의 금융혜택을 가진 미분양 주택을 선택하는 실속 수요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금융혜택이 없다 해도 미분양 아파트는 이후에 분양한 단지보다 가격이 싼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최근 분양 중이거나 앞으로 분양할 인근 단지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게 특징이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사장은 "하반기 이후 집값 급등세와 수도권 신규단지 공급지연 등의 이유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미분양 쪽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며 "청약통장을 쓰지 않고도 원하는 동·호수를 고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사전 현장답사는 필수

미분양 주택이라고 해서 기존 주택과 선택기준이 크게 다를 리 없다.

현지 부동산 방문 등 발품을 팔아서 입지나 교통여건,주변 개발가능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특히 미분양 아파트를 고를 땐 미분양 원인이 무엇인지 우선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입지여건이 좋은 아파트라도 가구수가 적은 '나홀로' 단지라면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만약 미분양 원인이 한꺼번에 공급이 몰린 데서 비롯됐거나 경기침체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면 입주 시점의 경기상황에 따라 큰 폭의 가격 상승도 기대해볼 수 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