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공장부지가 또하나의 '부동산 로또'가 될 수 있을까. 서울시가 시 면적의 4.6%(844만평)에 달하는 준공업지역 안에 있는 공장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종합 검토에 착수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만일 용도변경이 허용돼 개발이 가능해 진다면 공장부지는 물론 인근 지역도 상당한 개발 이익을 노릴 수 있는 탓이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18일 "산업구조가 굴뚝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급속히 변함에 따라 시내 준공업지역을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르면 이달 말 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용역보고서(서울의 산업입지 수요 예측에 따른 준공업지역 관리방안 연구)를 토대로 내년 중 준공업지역에 대한 정책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서울시의 이 같은 검토는 굴뚝 산업이 수도권 외곽으로 이전함에 따라 효용성이 떨어진 공장을 서울 시내에 계속 둘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 때문이다. 한 관계자는 "무조건 개발을 막는 것보다는 (공장이) 필요없다면 주택 등으로 개발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내부에 있다"고 전했다.

준공업지역 내 공장 이전지에 대한 개발 민원도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공장 소유주들은 이익 극대화를 위해 공장 이전지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지금까지 공장 이전지에 대한 개발을 아주 제한적으로만 허용해 왔다. 준공업지역 중 공장면적이 10% 미만인 비공업기능우세지구에서 부지면적의 20% 이상을 기부채납하는 조건으로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장이 모두 사라져 버리면 서울시의 산업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장부지 개발을 허용하면 모두 아파트로 바뀔 것이 뻔하다"며 "시내에 집만 있어서는 먹고 살 수 있는 방법이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서울ㆍ수도권에선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공장설립이 억제되고 있어 한번 공장부지에서 해제되면 나중에 필요할 때 공장부지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서울시의 결론이 무분별한 개발 허용보다는 새로운 산업구조에 맞게 공장부지를 활용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연구용역을 맡은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산업이 고도화됐다고 해서 준공업지역에 대한 수요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며 "새로워진 미래 산업수요에 맞게 준공업지역을 활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내에는 9개 자치구에 걸쳐 844만평의 준공업지역이 있으며 이 중 4분의 1 정도가 공장부지이고 나머지는 공동주택 학교 근린생활시설 도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