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급격한 부상은 세계 경제에 축복일까,재앙일까.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서울대 국제대학원이 11일부터 이틀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중국과 부상하는 아시아,세계경제의 재편성' 세미나는 이 같은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미국 교수는 "핵심 에너지를 확보하려는 중국의 패권 추구가 군사적인 공격이나 위성국가 건설 등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리처드 쿠퍼 미국 하버드대 교수(경제학)는 "독일이 1941년 소련을 공격하고 일본이 1930년대에 보여줬던 것(중국과 아시아국가 침략)처럼 핵심자원에 취약성(vulnerability regarding critical materials)을 갖고 있는 중국이 자원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인 정책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쿠퍼 교수는 "이 경우 인구가 적고 방어수준이 낮은 동부시베리아로 뻗칠 수 있고,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베이징의 위성국가를 설립하는 쿠데타를 통해 (자원을) 장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적이고 협력적인 분위기에서 중국이 필요한 자원을 조달하는 방안에 대한 이같은) 대안적인 시나리오는 가능하지만 실현되기는 어렵다(possible but implausible)"고 덧붙였다.

물론 쿠퍼 교수는 이에 앞서 "중국의 지도자들은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한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잘 알고 있다"며 "때문에 중국은 세계 자원개발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이 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 인도 등 개발도상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 협력적인 분위기에서 에너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그는 미국 에너지부의 통계를 들어 중국의 경제 규모가 2005년 7조4000억달러로 2000년(1조3000억달러)의 5.7배 규모로 늘어날 것이라며 에너지 소비 역시 경제 규모 확대에 따라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거대해지는 중국이 농산물과 에너지,원자재 등을 대거 소비할 경우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 상당한 충격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특히 미국 정부는 일본이 매년 0.5%,미국은 매년 1.3%씩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중국은 매년 4.2%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중국의 자원확보 노력은 지금까지 평화롭고 협력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중국은 미국의 해군력에 도전할 수 있는 강력한 군대를 만들려는 시도를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쿠퍼 교수는 "중국을 둘러싼 주변환경이 적대적일수록 중국은 공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이에 맞춰 행동하는 사람들이 자기실현적인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을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고 지적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