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소비와 설비투자를 비롯한 각종 지표들이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걱정스럽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소비재 판매가 전월에 비해 3.9%나 줄어들었는가 하면,설비투자 또한 전년동기 대비 0.2% 증가에 그쳤다. 또한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2월 제조업업황지수(BSI)는 81로 7개월 만에 전월에 비해 6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그동안 경제지표들의 호전에도 불구하고 유가 급등 등 국제경제여건의 악화에다 급격한 원화 환율 하락 여파로 수출둔화와 기업채산성이 악화되면서 경기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걱정이 많았었다. 때문에 1월의 산업활동 위축은 그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자칫 경기회복이 본격화 되기도 전에 주저앉고 마는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경제외적인 요인 또한 악영향을 미칠 공산이 커졌다. 당장 민주노총을 비롯 철도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 등 노동계의 파업 움직임은 경기회복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요인이다. 또 이미 달아오르기 시작한 지방선거도 경제에 도움을 주기 보다는 악재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는 경제지표들의 변화를 예의 주시하면서 신속한 대응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불법파업 등에 대해서는 원칙대로 대응해 법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책의 일관성을 어느 때보다 굳건히 지켜내야 한다. 파업과 선거를 계기로 정책당국이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면 경제불안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