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 오포 아파트 인허가 비리의혹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는 23일 감사원 실무자들을 소환해 건교부를 상대로 한 감사 착수 배경 등을 조사한다. 검찰 관계자는 "브로커 서모(47ㆍ구속)씨의 처남인 이모 감사관을 비롯해 감사원 실무자 3∼4명을 오늘 불러 오포 지구단위계획 변경 과정의 문제점, 브로커 서씨와 접촉 여부 등을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검찰은 아파트 건설 시행사인 정우건설 부장 김모(42)씨가 올 7월 2일 자신의 신분을 `토지소유주'로 속인 채 이 감사관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 민원을 제기한 배경도 확인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충남ㆍ경기팀을 맡았던 이 감사관이 충남 아산 출장소 전화로 민원을 접수한 것은 맞지만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민원내용만 접수철에 기재토록 돼 있어 토지소유주라고 속인 김씨의 신분을 알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오포 지역 주민들이 금년 9월 24일 감사원장 앞으로 보낸 건교부 감사촉구 탄원서에도 김씨의 신분이 토지소유주로 기재돼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검찰은 감사관 이씨와 브로커 서씨가 민원 제기에 앞서 건교부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모종의 대책을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점을 감안해 `청부 감사' 가능성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오포 지역 주민들이 감사원장 앞으로 보낸 탄원서에 포스코건설이 법무법인 3곳으로부터 받은 지구단위계획 관련 의견서가 첨부된 사실도 확인, 포스코건설의 로비 개입 의혹도 파헤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올 7∼8월께 포스코건설의 조용경 부사장을 한차례 불러 정우건설의 부지 매입자금 지원 배경을 조사한 데 이어 이 회사 고위 간부들의 추가 소환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지구단위계획 등 도시개발계획안을 심의했던 경기도 도시계획위원인 교수들을 이달 21일 소환 조사한 결과 금품과 향응을 제공받은 사실이 확인돼 이들을 사법처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경기도 도시계획위원인 교수 3∼4명은 포스코건설로부터 자문료를 받은 것 외에 브로커를 통해 돈을 받은 정황이 있어 배임수재죄ㆍ뇌물죄 등으로 사법처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