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인도 끌어안기'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정치·외교·군사·경제 등 전방위에 걸쳐 자리를 위협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미국은 이른바 '친디아(Chindia)'의 한 축인 인도를 성장 잠재력과 인구 규모 등에서 중국의 '서남진'을 억제할 수 있는 유력한 카드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인도와 향후 10년간 상호 방위협정을 체결한 데 이어 오는 18일 만모한 싱 인도 총리를 초청,정상회담을 여는 등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9·11 테러 이후 당시 인도 총리였던 바지파이가 외국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자신을 초청,테러와의 전쟁을 지지했던 것을 중시하며 인도에 특별한 관심을 보여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5일 미국의 이 같은 전략은 미국의 지지를 얻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리는 인도와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양국 간 유대 강화가 다음 주 정상회담을 계기로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친(親) 인도 행보 미국은 지난달 인도와 10개년 방위협력협정을 맺어 양국 간 군사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중국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지난 1일 발표한 '21세기의 새로운 세계 질서에 관한 공동선언'을 의식한 선제 조치였다는 분석이다. 또 미국은 핵확산방지조약(NPT)에 저촉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도에 민간 핵기술을 제공하는데 애쓰고 있다. 경제 교류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다. 미국의 대 인도 수출은 지난해 61억달러로 전년 대비 20%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다. 올 들어서도 지난 5월까지의 수출 증가율이 50%를 웃돌고 있다. 특히 미국의 직접투자 동향을 보면 '친(親)인도 원(遠)중국' 추세가 뚜렷하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 1분기 미국의 대중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보다 61% 줄어든 반면 대 인도 투자는 4.3% 증가했다. 또 그동안 미국 기업들의 인도 인프라 건설 사업 참여에 걸림돌로 지적돼온 '인도 다브홀 발전소 프로젝트'관련 분쟁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것으로 알려져 인도 투자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GE 등 미국 기업에 지금까지 지급을 미뤄온 공사대금을 주기로 방침을 정하고 싱 총리가 방미 기간에 이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의 실익 인도는 미국과의 유대 강화가 경제 교류 확대는 물론 유엔 안보리 진출 등 국제무대에서 위상을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도는 특히 일본 독일 브라질 등과 함께 추진 중인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확대 개편안 논의과정에서 미국이 중국 견제 차원에서 응원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G8(선진 7개국+러시아)에서 반공식적인(semiofficial) 지위를 확보하는 데도 미국의 지원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물론 양국은 '중국 견제론'에 대해 공식적으론 "전혀 무관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부시 정부의 전략가들은 미국의 인도를 통한 중국 견제 전략을 시인하며 이 같은 선택의 불가피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싱 총리의 이번 방미를 추진한 부시 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우리는 인도가 월드 파워(world power)가 되는 것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해 앞으로 양국의 유대가 급진전될 것임을 시사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