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김양수(金陽秀) 의원은 15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판교발 집값 폭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교 신도시를 전.월세 혼합형인 렌탈(rental) 신도시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설회사 CEO(최고경영자) 출신인 김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판교를 공영 개발해 무주택서민과 중산층의 내집 마련을 현실화시키고, 투자수단으로 인식된 부동산을 주거개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며 "기존 일반분양 아파트 1만2천246세대(55%)는 전세임대 아파트로 전환하고 나머지 1만168세대(45%)는 종전과 동일하게 월세임대 아파트로 공급하면 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해 24, 33, 45평형까지 고려하고 렌탈 기간은 최소 20년으로 규정해야 한다"면서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렌탈아파트 이름에 시공사 이름을 붙이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판교 신도시를 최소 20년간 렌탈 전용으로 활용할 경우, 저렴한 전.월세 임대료로 2만2천세대의 소.중형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렌탈 신도시 개발효과와 관련, "과도한 부동산가격 인상을 방지해 아파트 가격폭등이 안정화될 것"이라며 "또 주택이 주거공간이라는 인식의 확산에 따라 내집마련을 위한 과도한 저축이 불필요해 소비진작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자체분석 결과, 5조8천787억원의 렌탈 신도시 공영개발 사업비 중 선분양을 통해 얻게 되는 택지개발이익 2조9천859억원을 뺀 2조8천928억원을 연기금으로 충당할 경우, 20년 후 7조2천28억원의 순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연기금을 통한 공영개발의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