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움직임은 부산, 대구, 광주, 경남.북, 전남.북에서도 감지된다. ◇대구.경북 = 가스공사와 도로공사 등 25개 공공기관이 이전될 예정인 대구.경북지역은 이전 유망 지역을 중심으로 땅값이 들먹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북지역 최대어인 도로공사 유치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상주시의 경우 지천동 일대와 청리산업단지 등 유망지역을 중심으로 외지인들의 전화 문의나 방문 등이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농지인 지천동 일대의 경우 현재 평당 평균 5만-7만원의 호가가 형성된 가운데 도로공사 유치 소문으로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도로공사 다음으로 경제적 파급력이 큰 한국전력기술㈜의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는 안동시와 문경시, 포항시 등에도 이전 예상지 인근 땅값을 비롯해 주변 아파트 시세 관련 문의가 조금씩 늘고 있다. 직원수가 1천700명이 넘는 만큼 아파트나 빌라 등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고 미분양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시세를 문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가스공사 유치가 확정된 대구시의 경우 혁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인 달성군 현풍면 일대가 최근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되는 바람에 사실상 토지거래가 전무한 가운데 땅값만 평당 40만원 안팎에서 형성돼 있는 상황이다. 더구나 공공기관이 대구시내에 분산 배치돼야 한다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 달성군 일대의 땅값 상승 요인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12개 공공기관이 분산될 것에 대비해 동구와 수성구, 북구 등의 중개업소에는 이전 유망 후보지 인근의 땅값 시세를 알아보려는 문의가 이어지는 등 개발 이익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대한공인중개사협회 권오인 이사는 "아직까지는 투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있으나 공공기관의 입지가 정해지면 땅값 상승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부산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내년 개장하는 부산신항만 영향으로 강서구 일대 공단지역의 땅값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다. 최근 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신항만 내 배후물류부지 122만1천㎡(37만평)에 대한 가격 산정을 위해 주변지역인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과학산업단지, 마천지구, 두동.남양지구에 대한 매매가격을 현지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해 조사한 결과, 대부분 부지의 실제 매매가가 평당 100만원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산산업단지는 분양당시 평당 50만-68만원 수준이었으나 현재 실매매가는 150만원 수준으로 그나마 매물이 없어 실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녹산산단의 공시지가는 현재 평당 95만7천원이나 공업용지에 대한 수요가 많아 올 연말께는 평당 25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올라갈 것으로 현지 부동산중개업소 등은 내다보고 있다. 녹산산단 진입로 주위는 그린벨트인데도 평당 150만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토지공사가 올해 초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주위의 토지를 입찰한 결과 평당 28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현재 마무리 조성공사가 진행중인 부산과학산업단지의 경우 공시지가는 평당 23만원, 실매매가는 분양가 기준으로 평당 70만원이며 주물공업단지로 구성된 마천지구도 공시지가 평당 59만4천원, 실매매는 평당 110만원을 호가한다. 공업지역으로만 고시돼 있고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두동.남양지구도 주택지의 경우 평당 110만-120만원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기타지역도 평당 30만-40만원선에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 ◇울산 = 석유공사와 에너지관리공단, 산업안전공단 등 에너지 및 노동.복지 관련 11개 기관이 이전하는 울산에는 이미 경부고속철도 역세권을 중심으로 투기바람이 스쳐간 후여서 큰 동요는 없다. 그러나 공공기관 유치 지역과 곧 발표 예정인 울산국립대 설립 지역이 확정되면 또 한차례 투기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땅값이 상당히 올라 있는 가운데 공공기관 이전을 위한 혁신도시가 건설되더라도 부지가 수용될 것이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부동산 매매 활성화는 기대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전 부지가 확정되면 주변을 중심으로 땅값상승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경부고속도로 울산역 예정지인 울주군 언양읍 일대와 신 주거지로 개발중인 북구 효문 일대, 울주군 온양읍 일대를 눈여겨 보고 있다. ◇경남 = 지난 13-14일 경남 창원에서는 오피스텔 청약신청을 놓고 투기광풍이 휘몰아쳤다. 시내 중심지인 두대동 컨벤션센터 연계시설로 건립되는 초고층 오피스텔(32-43층) `더 시티7 자이'에 대한 청약신청 마감 결과, 1천60실에 무려 4만여명이 신청해 평균 38대 1의 기록적인 경쟁률을 보였다. 지방 오피스텔 청약에 1조3천억원이 넘는 신청금이 몰린 것도 사상 처음이다. 창원지역의 이같은 투기바람은 근본적으로 저금리에 따른 시중 부동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매가 가능한 초고층 오피스텔에 일단 넣고 보자는 식의 `묻지마 투자'가 한몫했다. 특히 지역 아파트 공급부족으로 수요가 많고 주택가격도 높게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내 오피스텔도 투기대상으로 여기고 속칭 `돈놓고 돈먹기'식으로 투기바람이 분 셈이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울 등 외지에서 전문 투기꾼들이 가세한 이번 오피스텔 분양을 지켜보면서 지방이 투기바람에 너무 쉽게 좌지우지될 정도로 부동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시장기반이 약한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 광주.전남지역 부동산 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이 발표되기 전부터 J프로젝트 등 각종 개발정책 발표로 이미 들썩이고 있는 상태다. 해남.영암군의 경우 서남해안 개발사업인 J프로젝트로, 무안군 일대는 기업도시 유치와 도청이전, 무안공항 개장으로, 여수.광양시도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사업, 대규모 관광단지 개발사업, 항만 개발사업 등으로 땅값이 움직였다. 여기에 공공기관 이전까지 겹치면서 전남 내륙권도 부동산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달아올라 땅값이 상승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거래가격이 올랐다기 보다는 투기세력과 일부 부동산 업자들의 '작전' 때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해남.영암지역의 경우 J프로젝트 개발계획이 발표됐던 지난해 초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평당 1만원에 불과하던 논밭의 가격이 5만원 안팎으로 올랐다. 마산면 일대 도로 주변 땅값은 평당 10만원을 호가하는 곳도 생겨났다. 산이면사무소 관계자는 "이곳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현지에 거주하지 않으면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를 매입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중개업자를 통해 동네 주민이름으로 토지를 구입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도시 유치 신청지인 무안군도 과거에는 땅을 사려는 사람을 하루 1명도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최근에는 부동산 중개업소에 하루 평균 20여명씩 꾸준히 다녀가고 있다. 이 때문에 평당 2만5천원에서 3만원 정도하던 논밭이 현재 5만-6만원선까지 올랐으며 무안공항 배후부지 등 선호지역은 이보다 7배 이상 부르는 곳도 있다. 이들 지역에 비해 광주를 중심으로하는 장성, 담양 등 내륙권의 부동산 시장은 특별한 땅값 상승요인이 없어 상대적으로 조용한 편이었으나 이곳도 공공기관 이전으로 '오르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게 일고 있다. 하지만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나주와 함평, 장성, 담양 이들 지역에서 오른 호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 장성읍 부동산 중개업자는 "작년말 4만원 안팎에 거래되던 농지가격이 지금은 9만-10만원을 부르고 있다"며 "하지만 실제로 내놓는 사람도 없고 거래도 없는 상태로 일부 외지인 소유 토지에서 가격을 높이는 것 같다"고 전했다. ◇전북 = 전북지역 혁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하나인 전주시 성덕동과 김제시 백구면, 완주군 이서면 접경지역 일대 땅값도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 확정발표와 함께 크게 올랐다. 완주군 이서면의 경우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땅값이 평당 8만-9만원에서 10만원 이상으로 며칠 사이에 1만-2만원이 뛰었다. 성덕동 번영로 도로변의 땅값은 지난해 말 평당 15만-20만원에서 25만-30만원으로 올랐고, 경기정리가 된 농림지역이나 농로를 끼고 도로에서 조금 들어간 곳도 7만-8만원에서 10만-15만원으로 뛰었다. 또 익산 황등.삼기.함열 접경지역과 정읍 신정동과 입암면 일대, 남원 덕과면과 임실군 오수면 접경지역 등 도내 혁신도시 후보지도 지역에 따라 땅값이 30-50%나 올랐다. 그나마 땅 주인들은 토지공사 등 13개 공공기관이 전북지역으로 이전한다는 발표가 나면서 내놓았던 매물을 거둬들여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성덕동의 한 부동산업자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발표 이후 성덕동 소재지와 영상리 일대 땅을 사려는 외지인들이 하루 평균 수십 명씩 찾고 있다"며 "지금은 매물이 없어 거래를 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어느 시.군으로 갈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동산 거품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소문만 믿고 섣불리 투자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북도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관련, 이들 혁신도시 후보지에 대한 개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이들 시.군의 개발계획을 담은 가짜 도면이 나돌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하는 등 부동산투기 단속에 들어갔다. (전국종합=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