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4일 발표한 176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배치가 향후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이전이 확정된 176개 공공기관에 몸담고 있는 직원 수는 모두 3만1976명에 달한다. 우선 이들이 서울·수도권에서 한꺼번에 빠져나갈 경우 장기적으로는 집값 안정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또 상가·오피스시장의 경우 공공기관이 떠나는 지역은 단기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토지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지를 중심으로 한 투기열풍이 우려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일단 수도권 집값 안정에 도움 이전 대상 기관은 서울이 121곳(직원 2만31명)이고 인천과 수도권 55곳(1만1945명) 등이다. 이들 기관 이전과 함께 빠져나갈 인구는 12만7904명(4인 가족 기준)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물론 가족 모두가 내려간다는 보장은 없지만 수도권의 인구분산 효과는 상당할 전망이다. 특히 서울은 강남구 22곳(5233명) 서초구 25곳(2642명) 송파구 5곳(965명) 등 강남권에만 52곳에 8840명의 공공기관 직원이 몰려있어 강남 집값 안정에 효과가 적잖을 것으로 기대된다. 황용천 해밀컨설팅 사장은 "초기에는 '주말부부'도 많겠지만 결국은 직장 따라 옮겨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수요 감소로 인한 수도권 집값 안정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상가나 오피스 시장은 단기적인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유영상 상가114 소장은 "공공기관 의존도가 높은 과천 등지의 상가시장은 매출 감소와 함께 시세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스시장도 공공기관 관련 기업들의 수요가 사라지면서 매물이 급증할 전망이다. 다만 강남권 등은 공공기관 의존도가 낮은 편이어서 상대적으로 타격이 작을 것으로 보인다. ◆이전지역 토지시장 과열 우려 아직 이전 부지가 확정되진 않았지만 공공기관 이전 지역은 벌써부터 땅값이 꿈틀거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공공기관이 들어오면 신규 상권이 형성되는 등 개발속도가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한국전력 등 대규모 공공기관 이전 지역의 경우 토지거래허가제 등 규제가 있다 해도 호가는 급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가 치밀한 투기방지책을 내놓지 못하면 큰 사회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l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