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이전 대상 177개 공공기관 중 규모가 가장 큰 한국전력이 광주로 옮기는 것을 비롯 한국토지공사는 전북,한국석유공사는 울산,한국관광공사는 강원도로 각각 이전할 전망이다. 정부는 23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거쳐 확정된 이 같은 내용의 공공기관 시·도별 배치안을 24일 국무회의에서 심의한 뒤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과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지난 22일 177개 공공기관 이전방안을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전방안에 따르면 한전은 당초 방침대로 한전기공 한국전력거래소 등 2개 자회사와 함께 광주로 이전하기로 사실상 확정됐다. 이어 토공 한국감정원 등 토지관리군은 전북으로,도공 등 국토교통군은 경북 또는 경남으로 각각 이전할 전망이다. 한전의 경우 광주와 울산이 막판까지 치열한 경합을 벌였지만 최우선 기준인 낙후도를 감안해 광주로 최종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관광공사 등 관광산업군과 대한광업진흥공사 등 자원개발군은 강원도로,한국자산관리공사와 증권예탁결제원 등 금융산업군 및 한국해양연구원 등 해양수산군은 부산에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유치 경쟁에서 밀린 울산에는 지역산업 연관성 등을 고려해 석유공사와 에너지관리공단 등 에너지 관련 기관들이 이전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대한주택공사 등 주택건설군과 가스공사 등 에너지 관련군 일부가 경북 또는 대구로,농업기반공사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 농업기술군은 전남·북에 분산 배치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대구에는 정보통신연구원과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등 정보기술(IT) 관련 기관들이 들어설 전망이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