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관들이 해외이주자의 보증기한을 연장해주고 신용불량자에 대한 채권회수를 게을리하는 등 보증기업에 대한 사후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보증기관은 수조원의 보증사고로 엄청난 결손이 발생했는데도 총인건비를 매년 10% 이상 증가시키는 등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부패방지위원회는 1일 신용보증기금,기술신용보증기금,지역신용보증재단 등 신용보증기관들에 대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들 기관에서 부패행위가 빈발하고 있고 지난해에만 3조5천억원의 보증사고가 발생하는 등 관리상의 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부방위에 따르면 신보와 기보는 대표이사가 해외로 이주할 경우 채권회수가 어려워지는 데도 대표가 해외이주한 1백58개 업체에 신규보증을 지원하거나 보증기한을 연장해줘 지난 2000년부터 작년 9월까지 3백95억원을 손해봤다. 또 보증을 받은 업체가 은행 대출이자를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로 등재됐는데도 채권보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례가 발견됐고 보증기관 직원이 허위 신용보증서를 발급해주고 수억원의 리베이트를 챙긴 경우 등 부패사례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