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반일시위는 18일 주도세력인 중국 젊은이들이 학교와 회사로 복귀하면서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하지만 나카가와 쇼이치 일본 경제산업상은 이날 "대중국 투자를 포함,중국 리스크가 상당히 커졌다"며 이번 사태가 양국 경협 경색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경고하는 등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측도 우다웨이 외무부 부부장이 기자회견에서 "본질적인 원인은 역사 문제에 대한 일본측의 태도"라고 말하는 등 강경자세를 고수하고 있다. '제발전이 최우선이다.' 인민일보는 18일 중국 주요 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반일시위와 관련,이같이 경제발전론을 앞세워 관심을 끌었다. 이 신문은 "중국이 국제문제에서 입김을 행사하고,동북아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는 힘은 경제발전에서 나온다"며 "경제발전을 위해 안정적 국제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보도는 중국이 폭력양상까지 보이고 있는 반일시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문제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상하이 등에서의 반일 과격 시위를 통해 정치적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판단한 중국이 이제 중·일 경제관계 경색을 막기 위해 나선 것이다. 중국은 그동안 일본문제에 대해 정치적 압박은 가하더라도 경제교류는 손상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정경분리' 접근 방식을 취해왔으나,시위가 과격해지면서 양국 경제관계의 타격이 예상되자 균형잡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패권야욕을 분쇄하는 방법은 정치적 대립이 아닌 경제교류 확대에서 찾아야 한다는 게 중국정부의 시각이다. 리페이린(李培林) 중국사회과학원 부소장은 "양국간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일본 경제의 중국 의존도를 높이는 것이 일본의 패권 움직임을 제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이 경제최우선론을 펴는 데에는 양국관계가 손상될 경우 경제적으로 아무런 득이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자리잡고 있다. 중국정부는 일본과의 경제관계가 '비상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해 양국간 교역량은 약 1천6백80억달러로 전년대비 25.7%나 증가했다. 일본의 대중 직접투자액은 54억5천만달러(실제투자기준)로 급속하게 늘어나는 추세다. 선진기술을 도입해야 하는 중국으로선 일본의 경제적 중요성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처지다. 그렇다고 중국이 향후 학생시위를 봉쇄하는 등 강경진압에 나설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중국정부가 시위를 진압할 경우 학생들이 '공산당도 결국은 일본 편이냐'는 생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위의 방향이 반일에서 반공산당으로 변할 수도 있다는 점이 중국당국의 고민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반일시위는 이번 주말이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중국정부가 시위를 어느 정도 허용할지를 보여줄 것이기 때문이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