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들어 역대 정권의 집권 3년차에는 집값이 안정됐지만 4년차엔 크게 뛰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과 경기 상황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지만 역대 정권들이 한결같이 부동산 투기 근절을 주장했던 만큼 일종의 '부동산 정책 레임덕' 현상이 집값에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4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90년대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집값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공교롭게도 집권 3년차엔 주택시장이 안정되고 4년차에는 큰 폭으로 뛰었다. 김영삼 정권의 집권 3년차인 95년 서울 집값은 2.5% 오르는 데 그쳤지만 이듬해인 96년에는 12.2%나 올랐다. 부동산뱅크는 91년부터 분당 일산 평촌 등 신도시에서의 아파트 공급이 일제히 이뤄지면서 입주 시점이었던 95년에 집값이 안정됐다고 분석했다. 김대중 정권 집권 3년차인 2000년에도 서울 집값은 2.1% 오르며 보합세를 유지했지만 집권 4년차인 2001년에는 무려 19%나 폭등했다. 2000년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였던 반면 2001년에는 외환위기 직후 공급이 크게 위축됐던 탓에 입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집값 급등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됐다. 이 같은 현상은 참여정부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집권 3년차인 올해 서울의 집값은 일부 재건축단지의 급등 영향으로 다소 흔들리기는 했지만 현재까지 평균 2.7% 오르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참여정부도 집권 4년차인 내년에 과거 정권과 같은 집값 변동 패턴을 보일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집값 불안'과 '안정기조 유지'라는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