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와 서울 강남권을 겨냥한 '2.17부동산대책'의 파장이 만만찮다. 판교신도시 청약을 겨냥해 청약통장을 바꾼 청약대기자들은 11월 일괄분양 때 참여조차 할 수 없게 됐다. 또 2종 일반주거지역 내 층수제한이 폐지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호가가 급등한 서울 강남구 개포.고덕지구는 집값상승으로 가려졌던 지구 내 용적률 차등배분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반짝상승기를 이용해 평수늘리기에 나섰던 실수요자도 살던 집이 팔리지 않아 애를 태우고 있다. ◆판교 청약기회조차 빼앗겨 서울 강남구 수서동에 사는 박모씨(39)는 2·17대책의 최대 피해자다. 판교 청약을 위해 작년 말 상여금을 받은 즉시 은행에서 중대형 평형 신청이 가능한 청약예금으로 변경한 게 화근이 됐다. 당시엔 통장변경 후 1년이 지나는 올해 말이면 1순위로 판교 내 전용 25.7평 초과 아파트 청약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 대책발표로 오는 11월이면 분양이 끝나 판교 입성을 위한 청약기회조차 갖지 못하게 됐다. ◆개포·고덕지구 용적률 배정문제 재부상 층수제한이 폐지되는 대상에서 재건축과 일반아파트가 제외됨에 따라 개포·고덕지구는 호가하락과 함께 지구 내 용적률 배정 문제 등 두 가지 악재를 안게 됐다. 개포·고덕지구는 저밀도와 고밀도가 섞여 있어 지구 전체 용적률 범위 내에서 단지별로 용적률을 차등 적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층수제한 폐지가 추진된다는 호재에 용적률 문제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호가가 뛰었다. 그러나 이번 대책 발표로 호가하락은 물론 좀체 해법을 찾기 힘든 '용적률 차등배정'이라는 냉엄한 현실에 직면하게 됐다. ◆평수 늘리기 발목잡혀 서울 강남 개포동에 사는 최모씨(53)는 요즘 잠자리가 편치 않다. 지난달 설연휴 직전에 매입한 인근 50평형대 아파트로 이사가려던 계획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올해 초만 해도 집값이 추가 하락할까 우려해 차일피일 큰 평형 매입을 미뤄왔던 최씨는 집값이 오름세를 보이자 지난달 아파트를 샀다. 호가가 뛰던 때라 살던 집의 매도가격을 몇 천만원 올려 내놓았다가 이번 대책으로 집이 팔리지 않아 낭패를 보게 됐다. 최씨는 다음달 이사를 위해 호가를 내려서라도 집을 팔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