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산업으로 거듭나야] (6ㆍ끝) '대학 살아남으려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회사 대학' 허용은 학계와 재계에서 대학 구조조정을 위한 방안으로 여러번 제기한 주장이다.
하지만 정부와 평등주의 교육을 앞세우는 단체들은 "공공재인 교육을 장사꾼에게 맡길 수 없다"는 이유로 논의 자체를 금기시해왔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대학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하지만 학교법인이란 이유로 매매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학교간 통합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지금까지의 몇몇 사립대학간 통합 사례도 예외없이 단일법인이 운영하는 대학간의 통합이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이주호 의원은 "기업이 대학의 운영을 맡는다고 교육의 공공성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면 교육의 질 향상과 대학의 구조조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 대학의 허용방안'이란 보고서에서도 "회사 대학이 허용될 경우 기업의 경영기법이 도입돼 경영혁신이 이뤄지고 주식시장에 상장,효과적으로 재원을 조달할 수 있다"며 "학교의 운영이나 지배구조가 투명해지고 현재 '붕어빵'처럼 천편일률적인 대학의 교육과정을 차별화시키는 효과도 더불어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병욱 전국경제인연합회 상무는 "회사 대학을 허용하면 학교 운영자들이 시설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돼 구조조정이 원활해진다"며 "기업의 현장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인 전문대부터 영리기업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경제자유구역,기업도시 등에서 이 제도를 시험해본 뒤 결과에 대한 검증을 받고 모든 교육기관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