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상당수가 한국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있으며 삶의 만족도나 행복 수준도 낮게 평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심리학과 이훈구 교수는 `한국인의 사회불안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국민상당수가 한국 사회의 정치와 경제ㆍ노사ㆍ교육ㆍ빈부 문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있다고 22일 밝혔다. 이 교수는 4월 우리나라 10대∼50대 남녀 1천248명을 대상으로 정치, 경제, 교육, 북한, 빈부 등 6개 현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묶어 최근 `사회심리학적안녕'이란 보고서 형태의 책으로 발간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정치문제 11개, 경제문제 6개, 빈부문제 7개 등 각 현안에대한 부정적 평가의 진술항목을 제시한 뒤 응답자들의 답변을 요구했다. 예컨대 `극심한 노사투쟁은 우리나라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라는 항목에 `아주 찬성한다'는 5점, `찬성도 반대도 아니다'는 3점, `아주 반대한다'는 `1점'을 부여하는 식이다. 점수가 3점 이상이면 `불안하다'는 쪽에 기울었음을 나타낸다. 설문조사 결과 국민의 정치 불안도는 3.4, 경제 불안도 3.38, 노사불안 3.29,교육불안 3.52, 빈부불안 3.4를 기록, 2.87을 기록한 북한 문제를 제외하고는 5개현안에 대한 국민 의식이 불안한 쪽에 기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와 경제 항목들의 경우 연령과 학력이 높고 소득이 많을수록 불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의 경제불안 점수가 40∼50대의 점수에 육박해 취업난에 따른 불만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빈부격차의 경우 학력과 소득이 낮을수록 불안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교수는 또 정치인ㆍ기업인ㆍ법원ㆍ서민ㆍ학생 등 6개 하위영역을 정해 5등급으로 나눠 한국 사회의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 신뢰도 평균이 2.23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회 고위층에 대한 불신이 가장 높고 정치인과 기업인에 대한불신이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우리 사회에 불신이 팽배해지고 있다'는 항목에 전체 76%가 `긍정'또는 `강한 긍정'을 나타내 한국 사회의 불신 풍조가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이 교수는 "심리학자가 사회불안 대책을 내놓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1997년 외환위기 때 보여준 합치된 마음으로 뭉친다면 사회불안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